* 과수원길

박화목 작사, 김공선 작곡의 한국의 동요. 본래 과수원 길 자체는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였던 박화목이 쓴 시였지만, 문화방송의 의뢰로 교육자이자 작곡가인 김공선이 여기에 곡을 붙여 1972년 한국동요동인회를 통해 발표되었다. 작사가와 작곡가는 북한 지역이 고향이라는 공통점[1]이 있었는데, 고향에 대한 그리움도 작사와 작곡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2]

 

실제로도 이 동요의 배경인 과수원 길은 작사가 박화목의 외가 부근 과수원 길이다. 또한, 가사 중 '둘이서 말이 없네 얼굴 마주 보며 생긋'에서 '둘'은 작사가 박화목 본인과 그의 여동생이라고 한다.[3]

서정적이고 정감있는 가사와 따라 부르기 쉬운 가락 덕에 한국에서는 거의 국민 동요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유명하며, 강원도 지역에서는 본 동요의 이름을 딴 '과수원 길 동요음악제'가 2013년부터 행해지고 있다.

사실 아카시아가 아니라 아까시나무이다. 예로부터 잘못 불리고 있는 명칭이라 가사에서도 틀린 것인데, 한편으로는 이 노래가 워낙 유명하기에 역으로 잘못된 명칭을 널리 퍼뜨린 주범(?)이기도 하다. 진짜 아카시아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가사 중 '아카시아 꽃 하얗게 핀' 이라는 부분이 있는 것을 보면 그냥 아까시나무를 가리키는 것이 맞다. 아카시아의 꽃은 노란색이다.

애초에 과수원 주변에는 아카시아를 심지 않는다. 땅의 영양소를 다 빨아들여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는 모양. 반면 아까시나무는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고, 한국전쟁 이후에 산림 녹화 사업 등으로 많이 심어졌기에 과수원 주변 길에 있어도 이상하지 않다.[4]

이 곡을 작사한 박화목 시인의 외손자로 정상수가 있다.

과수원길 계이름

솔솔도  도시라솔  솔솔솔솔솔솔  도 미도레 레

미미미솔  미레도라   솔솔솔솔솔  파미레도

시도레  도도레미  레레레레레  파 솔

솔솔도  도시라솔  솔솔솔솔도미도레

미미미미솔  미레도라  솔솔솔솔파미레도  솔솔파미

 

어머님은혜

어머님 은혜 (계이름)

미파솔 도   도시라솔  라솔솔파미  레--

미파솔도   도시라솔  라솔파미레  도--

레레솔파   미레도레  미미파솔라  솔--

도도시라   솔라솔미  라라솔라시  도--

 

비나리는 고모령FM#

 

오빠생각C

 

 

* 꽃밭에서

1953년 발표된 어효선 작사, 권길상 작곡의 서정동요

6·25전쟁이 휴전된 직후의 작품으로, 집을 떠난 꽃을 좋아하시던 아버지를 생각하는 어린이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노래에 시대적상황이 담겨있다. 그리움을 호소하는 애절한 노래로도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