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우리 대학을 말한다! - 부산대[2006-11-20 오후 12:06:12] | |||||
[주요 대학 입시처장 릴레이 기고(1)] | |||||
부산대학교 논술고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또는 학교생활기록부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탁월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도입됐으며, ㉮군 일반전형 인문·사회계열(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인문·사회계열, 상과대학), 예술문화영상학과 지원자에 한하여 실시된다. 부산대 논술고사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민주시민으로서의 건전한 교양 측정'과 '대학에서 전공을 수학할 수 있는 능력 측정'이 그것이다. 그리고 부산대 논술 고사는 '통합교과형', '자료제시형'의 형식으로 치러진다. 부산대 논술고사의 평가 목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이런 평가 목표는 논술고사를 출제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채점의 기준을 마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부산대 논술고사를 준비하는 수험생은 이런 평가 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부산대 논술고사 채점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선 지원자의 인적 사항은 공개되지 않는다. 또 채점은 4인 1조로 구성된 채점위원에 의해 두 차례 이루어진다. 한 조의 1차 채점이 끝나면, 다른 조에서 2차 채점을 한다. 두 차례 채점한 결과 일정 점수 이상 차이가 나면 다시 채점한다. 두 차례 채점한 점수를 산술 평균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한다. 채점위원들이 긍정적 답안으로 평가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채점위원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답안 유형은 어떤 것일까.
이런 부정적 형식의 답안은 경우에 따라서 채점에서 제외되기도 하며, 감점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채점에서 아예 제외되는 답안의 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① 개인적인 신변 사항을 쓴 답안 ② 두 색 이상의 필기구를 사용한 답안 ③ 불필요한 내용을 쓰거나 부호를 표시한 답안 ④ 지시한 분량에 크게 미치지 못한 답안 ⑤ 논지에서 벗어난 답안 ①의 예를 들면 지원자가 수험번호와 이름, 지원학과와 이름, 또는 소속 고등학교와 이름을 밝힌 경우다. 이런 표시는 무의식적으로 또는 실수로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 자신의 신원을 명백하게 밝힌 경우이다. ②의 예를 들면 답안의 일부분은 흑색 필기구로 작성하고, 일부분은 청색 필기구로 작성한 경우이다. 이처럼 필기구를 바꾼 경우도 신분을 노출시키는 신호로 오해될 수 있다. ③의 예를 들면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은 내용을 적거나, 수험생이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어절 또는 문장에 밑줄을 그은 경우이다. 이런 경우도 개인의 신분을 노출시키는 내용 또는 기호로 오해될 소지가 있다. 이런 답안은 채점의 보안성을 해치기 때문에 채점에서 제외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다. 그래서 개인의 신분을 노출시킬 수 있는 어떠한 내용이나 기호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④의 경우는 원고지 사용법과 관련하여 자주 발생하는 문제이다. 원고지에 작성된 답안의 내용 가운데 상당히 긴 부분에 교정 부호를 사용하거나 줄을 그어서 삭제한 후에 그 부분을 그대로 둔 답안들이 발견된다. 이럴 경우에 반드시 원고지 빈 여백의 칸을 활용하여 답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줄을 긋거나 삭제한 부분은 분량에서 제외된다. ⑤는 앞서 부정적 유형으로 언급한 '찍기형' 또는 '사오정형' 답안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런 답안은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논술고사에서 요구하는 주제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의 답안은 논술고사의 주제에서 이탈한 오답에 불과하다. 또 위의 경우처럼 아예 채점에서 제외되지는 않지만 명백한 감점 사유에 해당하는 유형이 있다. ① 글의 제목을 쓴 답안 ② 연필로 쓴 글을 지정 필기구로 입혀 쓰지 못한 부분 ③ 문제나 제시문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쓴 내용 ④ 유사한 내용의 중복 서술 ⑤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긴 문장 ⑥ 너무 세분된 단락 구분 수험생들은 자신의 답안이 이상의 여섯 가지 경우에 속하지 않는지 각별히 유념해야 한다. 논술고사는 결국 문장의 정확한 해석 능력과 지식을 종합할 수 있는 능력, 논리적인 사고능력, 정확한 표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평소 많이 읽고, 생각하고 쓰는 연습을 하는 것 이상의 방법이 없다.
|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국대논술[프레시안2006-11-27 ] (0) | 2006.11.27 |
---|---|
서울대논술[프레시안2006-11-22 ) (0) | 2006.11.27 |
바람직한 논술 교육의 방향[프레시안2006-11-08 ] (0) | 2006.11.27 |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를 시작하며[프레시안2006-11-08 ] (0) | 2006.11.27 |
논술, 걱정되시죠? (오마이2006-11-27) (0) | 2006.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