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논술의 벗…의견 보태면 실력 ‘쑥쑥’ 선생님이 알려주는 통합논술 공부요령
교과서·쉬운 고전 해설서 등 폭 넓은 독서 필수
친구들 끼리 어울려 의견나누고 첨삭해 보기를
내년부터 시작되는 새 입시제도와 통합교과형 논술의 부담 때문에 고 1·2학생들은 여름방학이 썩 즐겁지만은 않다. 경기도 고등학교의 논술 담당 선생님들이 방학을 이용해 논술과 독서와 친해지는 방법을 들려줬다. ‘5인 5색’, 자신의 타입에 맞다거나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골라 보완해보자.
◆논술 수업은 따로 배우는 게 아니다-군포 수리고 이문수
새 논술은 다양한 과목을 아우르는 형태로 비판적·창의적 사고를 요구한다. 따라서 국어 뿐 아니라, 인문계는 사회교과, 자연계는 수학과 과학교과 전반에 걸쳐 심층 학습을 해야 한다. 대부분 정규수업은 ‘내신용’이고 논술은 따로 공부하는 것이라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다. 교실 수업 노트와 방학 보충 수업을 충실히 활용해 다른 교과와 연관지어 사고하는 습관을 기르고, 희망 대학 홈페이지도 자주 방문해 출제 경향을 파악하자. 학교별로 논술시험을 차별화 하려는 만큼 대학별 출제 원칙과 문제 유형 등을 부지런히 체크하는 것이 좋다.
◆논제와 제시문 안에 답이 있다-명지외고 백영옥
시험지를 받고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며 막막해 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대개의 경우 문제 속에 이미 답안의 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무엇을 쓰라고 요구하는지 항목별로 정리해 제시문을 분석하는 버릇을 기르자.
신문이 논술의 좋은 벗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그 중 논단이나 칼럼 등 길지 않게 자신 의견을 피력한 글들은 자기 주장을 설득력 있게 펼쳐 나가는 방식을 자연스레 배울 수 있다. 일주일에 한 두 번 정도 한 칼럼을 분석하고 자기 의견을 덧붙여보자. 처음에는 엉성한 글에 실망하지만 연습할수록 글 솜씨는 는다.
◆친구끼리 첨삭하면 실력도 쑥쑥-외대부속외고 윤진석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연습이 기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학생들이 너무 조급하게 생각한다는 것. 처음부터 2000자 이상의 글을 쓰기 보다는 조금씩 그 양을 늘려가는 게 좋다. 글쓰기의 제재가 될 만한 내용을 접하면 즉시 써보자.
방학 중이라도 각자 쓴 글을 4~5명의 친구들과 모여 서로 첨삭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양한 글이 존재한다는 걸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첨삭이 필요할 경우, 선생님께 문의해 좋은 글의 방향을 제시받는 것이 좋다. 토론을 할 때 학생 수준에 맞고 관심사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것도 집중과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책 읽기가 정답이다-수원 유신고 장성은
결론은 책 읽기다. 많이 생각하고 쓰려 해도 읽은 게 있어야 나오기 마련. 문장 바로쓰기 연습을 많이 해도 좋은 문장 거듭 접하는 것보다 못하고, 개요 잘 잡는 것보다 감동적인 칼럼 매번 읽는 게 낫다. 친구 사귄다는 기분으로 책과 친해지자. 동서양 고전의 경우 번역이 충실해도 고등학생들에겐 무리다.
‘국부론’ 대신에 ‘애덤스미스 구하기’를, 다윈의 ‘종의 기원’ 대신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힌다’를, ‘논어’ 대신에 ‘미쳐야 미친다’같이 원전에 충실하고 재미있는 해설서들을 읽자. 명문구 등이 필요하다면 읽은 책에서 스스로 정리하자.
▲ 고1·2학생들에게 여름방학은 비교적 여유있게 새로운 대입제도와 논술시험의 유형을 살피고 대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25일 군포 수리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이 방학 기간을 이용해 학교에서 마련한‘교과 논술 수업’을 듣고 있다. /수리고등학교 제공 |
|
◆폭넓은 독서가 필수-성남외고 이혜영
교과서에 대한 분석적 이해는 필수적이고 문학·역사·과학·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독서도 필요하다. 다른 영역의 지식들을 하나의 주제로 합쳐 독창적 아이디어를 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이 논술 문제를 해결의 열쇠다.
주어진 논제에 대해 자신의 입장과 근거를 정하고,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능력이 논술 평가 기준이다. 대학 기출문제를 참고해 스스로 출제자의 입장이 되어 논술 문제와 쟁점을 설정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신문, 시사주간지,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해 사회 문제에 대한 쟁점과 문제를 제시하는 훈련도 같이 하자.
입력 : 2006.07.25 23:26 11' / 수정 : 2006.07.25 23:28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