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누가 가장 나이를 많이 먹었을까요? '삼인문년도(三人問年圖)'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삼인문년도, 장승업, 19세기, 비단에 채색, 152 cm × 69 cm,
간송미술관 소장

삼인문년(三人問年)이란, 세 사람이 나이를 묻는다는 뜻입니다. 그림 가운데 세 사람이 있습니다. 두 사람은 서 있고, 한 사람은 앉아 있는데, 글쎄 누가 나이를 더 먹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모두 대머리에 하얀 수염을 달고 있으니 말입니다. 누가 가장 나이를 많이 먹었을까요?
겉으로 보아서는 알 수 없으니 직접 들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허허, 그렇담 내가 먼저 말하지!”

소나무 곁의 바위에 앉아 있던 노인이 먼저 입을 열었습니다.

“나는 내 나이가 얼마나 되는지 알지도 못해.”

대뜸 쏟아 놓은 이 말에 나머지 두 노인은 미소만 지었습니다. ‘이런, 자기 나이를 모르다니, 바보가 따로 없네.’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런데 말이야, 내 나이를 모르긴 하지만,
한 가지 떠오르는 게 있어. 내가 아주 어렸을 때 반고(盤古)와 친하게 지냈단 말씀이야!”

노인은 심각한 표정으로 하늘을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두 노인은 눈을 크게 떴습니다. 반고라면, 천지를 창조한 신(神)입니다.
이 세계가 알 속과 같이 캄캄한 어둠이었을 때, 반고는 무려 1만 8000 년이나 되는 긴 잠을 깨고 일어나 도끼로 혼돈을 내리쳤습니다.
가벼운 기운은 위로 가서 하늘이 되고,
무거운 기운은 아래로 가라앉아 땅이 되었습니다. 반고가 죽자 머리는 산이 되고, 두 눈은 해와 달이 되었습니다. 몸 속의 기름은 강과 바다가 되고, 머리털은 풀과 나무가 되었습니다. 이 세상은 반고로부터 비로소 온전해진 것입니다.


“하하, 반고(盤古) 친구! 이보게나.
그 정도 가지고 무슨 나이 자랑이야!”

곁에서 묵묵히 듣고 있던 노인이 가소롭다는 듯이 말을 이었습니다.


“자네,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 들어 봤나?”

반고 친구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변했으니, 세상이 참 몰라보게 달라졌다 이 말이지.”

노인이 이렇게 말하며 가리킨 곳에는 정말 하얀 파도가 부서지는 푸른 바다가 보였습니다.
그곳이 예전에 뽕나무 밭이었다니 믿어지지 않습니다.

“그 뽕나무 밭이 바다로 변하고, 또 바다가 뽕나무 밭으로 변할 때마다 산 가지 하나씩을 올려놓았지.
그 동안 내가 쌓아 놓은 산 가지가 열 칸 집을 가득 채웠다네.”

반고 친구는 기가 죽었습니다. 깎아지른 낭떠러지 아래 지은 집들 속에 사람은 없고,
방마다 나뭇가지로 가득 찬 이유를 이제야 알 것 같았습니다.

묵묵히 뒤에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노인이 여유 있게 말했습니다.

“자네들 이야기는 내 모두 잘 들었네. 그렇다면 저 복숭아를 보게.”

노인이 가리키는 곳을 보니 탐스러운 복숭아가 몇 개 열려 있었습니다.

“저 복숭아로 말할 것 같으면, 3000 년 만에 한 번 열매를 맺지. 자네들이 운이 좋아 마침 저 열매를 볼 수 있다네.
그 동안 나는 곤륜산에서 복숭아를 먹고 씨앗을 산 아래로 뱉곤 했지. 그런데 내가 뱉은 씨앗 무덤이 곤륜산만큼
높아져 복숭아 씨앗산이 되었지 뭔가.”

곤륜산이라면 신선들이 사는 전설 속의 산입니다.
이곳에는 마시면 영원히 죽지 않는 샘물이 흐르고, 선녀인 서왕모가 살고 있지요.

“저것 보게. 복숭아를 60 번이나 훔쳐 먹은 동방삭이도 보이지 않는가.”

과연 복숭아나무 아래 푸른 옷을 입은 동방삭이 엎드려 있는 것도 보였습니다.

“어떤가? 자네들은 나에 비하면 하루살이에 불과하지.”

두 사람은 더 이상 할 말이 없었습니다.

이 그림은 조선 시대의 뛰어난 화가인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년~1897년)이 그렸습니다.
중국이 옛 이야기를 상상하여 그린 것입니다. 이렇게 이야기 속의 인물이나
그 인물들이 빚어 내는 전설적인 사건을 다루고 있는 그림을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라고 합니다.

장승업의 그림은 선이 자유롭고 색은 금방 그린 듯이 선명합니다.
옛 이야기이지만 마치 지금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처럼 생생합니다. 이 그림 속의 신선들에 비하면,
우리 인간들은 정말 하루살이만큼 짧은 세월을 살지요. 짧은 시간을 소중히 여겨야 하겠습니다.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도  (0) 2006.07.11
'모견도' 이암 ' 그 마음이 그림 속에 나타날 때 바로 좋은 작품'  (0) 2006.07.11
김득신 '야묘도추'  (0) 2006.07.11
백남준'다다익선'  (2) 2006.07.11
보테르  (0) 2006.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