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학년도 대입 논술’, 공교육과 연계 강화!


대입논술-공교육 연계 강화

 ○ 재정지원 사업을 통한 논술 비중 축소 유도

 ○ 수리논술에 대한 교사 참여 확대로 고교 교육과정과 연계 강화

 ○ 논술 관련 정보제공 강화 및 고교의 지도역량 강화 지원

 ○ 인문 논술도 영어 지문 및 난해한 지문은 지양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은 대학의 논술이 고교 교육과정 범위 밖에서 출제되고 난이도가 높다는 지적과 관련하여, 대입 논술과 고교교육과의 연계를 강화하기로 주요 대학 입학처장들과 올 상반기에 협의 하였으며, 이를 2013학년도 논술부터 반영하기로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교과부와 대교협은 대입 논술 비중 축소를 위하여 2011년부터 「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입학사정관제 지원 사업」에서 논술 지표를 포함시켰으며, 반영 비중 또한 연차적으로 확대(‘11년:2.5%→’12년:3%)해 왔습니다.


그 결과 논술 실시대학 수는 ‘12학년도 36개교에서 ’13학년도 27개교로 대폭 축소된 바 있으며 2013학년도에는 논술 비중 축소 뿐만 아니라 고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논술 문제가 출제될 수 있도록 하고 난이도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두기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추진할 계획입니다. 


대학이 논술시험 출제시 고교 교사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논술 문제의 제시문, 용어, 난이도 등에 대해 교사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며, 논술시험 시행 후에는 고교 교사로부터 난이도의 적정성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다음해 논술시험 출제 시에 반영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이 고교-대학간 모니터링 및 환류 체제를 정착시킴으로써 논술 문제가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되고 안정적 난이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한, 수험생과 고교가 논술시험 출제 경향을 사전에 파악하여 논술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 공개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는 대학이 논술시험 시행 후 시험 문제 및 문제해설을 공개하도록 「2014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에 명시하고, 모든 대학의 다양한 수리논술 관련 자료를 수험생과 고교가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대교협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할 계획입니다. 


향후 대교협은 대학의 논술출제위원과 대교협 논술 연구위원간 논술관련 상호 이해도 제고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2012년 9월)할 예정이며, 이러한 노력 등을 통해 인문 논술에서도 영어 및 난해한 지문이 반영되지 않도록 할 계획입니다. 


이번 공교육과 연계한 수리논술 개선방향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된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