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갤러리]놀이체험 ‘방방 숨은그림 찾기’ 外
입력: 2008년 01월 01일 17:56:36
○…국립현대미술관은 아이들에게 친근한 ‘방’이라는 개념을 이용, 방마다 돌아다니며 일상의 공간인 집과 기구들이 변용된 작품들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방 숨은그림찾기’ 전을 열고 있다. 황혜선씨의 설치작품 ‘현실이라 부르는 꿈’ 등 회화, 설치미술, 미디어아트 부문에서 활동하는 작가 19명의 작품 22점이 전시된다. 2월10일까지. 입장료 성인 1000원, 아동 및 청소년 무료. (02)2188-6000

-전통과학·예술 체험프로그램-

○…삼성어린이박물관(서울 신천동)은 1월 한 달 동안 ‘전통 직업 속 과학과 예술’이란 주제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측우기·해시계 만들기, 탈춤놀이, 병풍 만들기, 사물놀이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36개월 이상 어린이 6000원. (02)2143-3600

- 내손안의 모바일 경향 “상상” 1223+NATE -

아동 발달 심리


임 태 우

(호원대교수)


- 목 차 -

I. 일반적 특징1

II. 신체적 발달 1

III. 정신적 발달 2

A. 지능의 정의2

B. 지능검사3

C.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4

D. 지능과 창조성(creativity)4

E. 정신능력의 질적 발달5

F. 언어발달 5

IV. 성격 및 사회성 발달6

V. 아동기의 발달 이상7

A. 신체 발육의 이상 : 비만7

B. 행동적 이상7

C. 장애아의 진단과 발견8

VI. 발달 미술치료9

A. 발달미술치료의 이론10

1. 로웬펠드의 미술표현 발달단계이론10

2. 발달미술치료의 과정12

아동 발달 심리

임 태 우 교수 (호원대)



I. 일반적 특징



A. 아동기란 7세에서 12세에 이르는 동안을 말한다.


B. 이 시기의 아동들은 생활의 중심이 가정에서 학교로 옮겨진다.


C. 또래 문화 형성1) : 부모의 영향에서 다소 벗어나 친구들과의 접촉이나

또래들의 인정에 더 민감해진다.


D. 신체 발달이나 감각운동 발달보다는 이미 획득된 지각, 운동기능을 보다

기술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E. 인지적 측면에서도 사물의 판단에 있어 지각의존성(perceptual dependancy)

과 자기중심성(egocentrism)을 극복한다.


F. 일상생활의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적응방식을 습득해

나아가야 한다.2)

II. 신체적 발달


A. 아동기의 신체 발달은 매우 완만하다.


B. 외형적으로는 영구치가 생겨서 입매가 어릴 때와 달라지고 아기 모습(baby

look)을 벗어난다.


C. 팔 다리의 성장이 몸통의 성장보다 빨라서 팔다리가 긴 모습이 된다.


D. 운동 발달에 있어서는 새로운 발달은 없지만 이미 획득한 운동기술이나

근육들의 협응(coordination)과 정교화가 이루어진다.


1. 위 아래로 뛰기

2. 공놀이

3. 동작시간(movement time)과 결정시간(decision time)이 모두 빨라진다.

III. 정신적 발달



A. 지능의 정의



지능이란 “잘 판단하고 이해하고 추리하는 것을 본질로 하는 활동이며, 기타 환경에의 적응능력, 자기 판단의 힘과 같은 기본적 능력”을 말한다. 또한 지능이란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고, 모든 문제 해결에 추상적 상징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3)이라고 할 수 있다. “합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개인의 종합적, 총체적 능력”4)을 지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간의 지능은 개체의 유전적 형질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달하는 것이다. 지능발달의 상한점(ceiling point)은 유전적으로 주어지지만 개인의 지능은 환경에 따라 20점 내외의 진폭이 있을 수 있다.5)

길포드(Guilford)는 지능을 조작(OPERATION), 산출(PRODUCT), 내용(CONTENT)의 세 가지 주요한 유목으로 분류했다.6)


*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란 개인에 따라, 그리고 나이에 따라 차이를 나타

내는 정신능력을 말하며, 우리는 흔히 지능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 지능이란 기본적으로 가설적인 구성물(hypothetical construct)이므로, 지능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지적행동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B. 지능검사



최초로 인간의 정신 능력을 측정하기 시작한 것은 1879년 독일의 심리학자 분트(W. Wundt)에 의해서이다. 동시대에 영국의 갈톤(F. Galton)과 피어슨(K. Pierson)은 생물학, 유전학, 우생학, 사회학, 교육학 및 심리학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통계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미국에서는 카텔(M. J. Cattel)이 1890년에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심리검사와 측정”(Mental Test and Measurement)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카텔은 지능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유전적 요인이 우세한 연합적 지능(associate intelligence)과 문화적 요인이 우세한 인지적 지능(cognitive intelligence)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손다이크(Thorndike)는 통계적인 방법을 실제로 교육 문제에 적용시켰다. 이와 같은 태동기를 지나 지능검사가 처음 제작 발표된 것은 1905년 프랑스의 비네(Binet)와 시몽(Simon)에 의해서였다.


1. 비네 검사7) : 원래 정신과 의사였던 비네는 정신박약아8)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능검사를 개발하였다. 그는 아동들의 지적 발

달 수준을 정신 연령(Mental Age: M. A.)으로 나타냈다.


2. 지능 지수 (I. Q.) : 1912년 독일의 심리학자 슈테른(W. Stern)이 정신 연령과

생활 연령(Chronological Age: C. A.)의 비로 고쳐서

공식화한 것이 오늘날에 널리 알려진 지능 지수이다.


(I. Q. = 100 X M. A. / C. A.)


* 130 이상 (최우수), 129-120(우수), 110-119(보통 상), 109-90(보통),

89-80(보통 하), 79-70(경계선), 69이하(정신박약)


3. 웩슬러(Wechsler) 검사 : 능력 척도(power scale) 검사로서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나누어진다.


(1) 언어성 검사의 영역 : 상식 문제, 이해 문제, 숫자 외우기, 공통성 찾기,

산수[수학]문제, 어휘 문제 등 6개 영역


(2) 동작성 검사의 영역 :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빠진 곳 찾기,

바꿔 쓰기(미로문제는 아동용 검사에만 있다) 등

5개 영역



C.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9)



1. 유전적 요인 : 지능의 유전성(heritability)


2. 환경적 요인 : 가정환경, 학교환경, 문화 환경



D. 지능과 창조성(creativity)10)



1. 창의성 검사 및 창조성 개발 교육 필요11)

2. 학력검사

3. 적성검사

4. 성격검사(MBTI)



E. 정신능력의 질적 발달


1. 지각 발달 : 탐색 전략(search strategies), 방해 자극(distracting stimuli)


2. 탈 중심화 능력(decentering ability)의 발달 : 자기중심성 탈피, 조망 수용12),

보존 개념의 획득


* 보존이란 “아동이 물체의 외형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양과 질은

그대로 남아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양의 보존은 만 6-7세 경, 무게의 보존은 만 8-10세 경, 부피의 보존은 만 11-12세경이 되어야 비로소 이해하게 된다. 보존개념획득에 있어서 나타나는 이러한 시기적 차이를 '수평적 격차'라고 한다. 이것은 특정한 단계내에서도 동일한 인지구조로서 조작되는 여러 보존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시간적 지연(time lag)이다.


3. 인지 양식(cognitive styles)


(1) 장 의존성(field independence)과 장 독립성(field dependence)13)

(2) 충동성(impulsivity)과 반성성(reflexiveness)

(3) 내적 통제(inner control)와 외적 통제(external control)


4. 기억의 발달 : 기억 책략(memory strategy)의 발달, 단계별 책략 활용


F. 언어발달



1. 구문의 발달


2. 실재론적 지식(ontological knowledge)의 발달

IV. 성격 및 사회성 발달14)



A. 학교에 대한 태도


B. 학교생활과 근면감 혹은 근면성(sense of industry)의 발달15)


C. 교과서, 학교 규범, 교실 분위기


D. 또래집단과의 관계


1. 소속감


2. 소외감16)


3. 단체놀이(team play)17)


E. 대중매체의 영향


V. 아동기의 발달 이상



A. 신체 발육의 이상 : 비만



1. 유전적 요인 : 부모의 비만

2. 문화적 요인 : 명절, 잔치 등

3. 심리적 요인 : 불만, 불안의 해소 방안

4. 에너지 소비의 감소 : 신체 활동의 축소

5. 지방효소의 이상

6. 열량조정기제(calory intake regulation mechanism)의 이상18)

7. 지방 식품의 과다 섭취



B. 행동적 이상



1. 학교 공포증(school phobia) : 학교에서 경험한 불안이 심해서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하거나 아예 가지 않으려는 행동.


2. 전환증(conversion) 및 히포콘드리아시스 : 불안이 신체적 증상이나 신체기능

에 대한 과도한 관심으로 전환되

는 신경증적 행동


3. 습관 장애(habit disturbance) : 야뇨증19), 손가락 빨기 등.


4. 행동 장애(conduct disorder) : 공격성, 반항, 도벽, 가학적 행동, 방화,

무단결석 등


5. 강박적 사고와 행동20)


6. 학습 장애(learning disabilities) : 불안, 갈등, 신체적, 심리적 이상, 적응장애


7. 미소대뇌기능장애(minimal brain dysfunction, MBD)21)



C. 장애아의 진단과 발견22)



* 장애아를 규정하는 개념23)


첫째, 해부학적, 신체구조학적, 지능적 및 심리적인 이상성이나 상실이 있는 아동


둘째, 신체 구조적 혹은 심리적 과정에 의해서 야기되는 만성적인 질환을 가진

아동


셋째, 기능적인 측면에서 질병이나 독립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는 아동


넷째, 행동규범을 중심으로 장애를 갖고 있는 자가 자신의 장애에 대해 특수한

반응을 보이는 아동


다섯째, 사회적 태도나 편견, 차별 등의 사회적 장애를 가진 아동


VI. 발달 미술치료



자신

타인

대인관계 유형

특 징

안정된

애착관계

긍정적

긍정적

안정형

이상적인 유형

자아 가치감,존중감, 유능감을 강하게 느낌, 타인 배려, 의지, 기본적인 신뢰감 형성

불안정한 애착관계

긍정적

부정적

무시형

독불장군형, 자신의 긍정적인 태도 타인의 부정적인 태도에 의해 과도하게 갖춰진 유형

타인 믿지 못함, 타인 의지 꺼림.

필요한 인간관계만 형성, 인간관계의 본질

형성 도움 줘야 함. 도움을 주고받는 의미실습.

부정적

긍정적

몰입형

대인관계에 몰두, 모든 사람과 항상 좋은 관계 유지

위해 에너지 집중, 타인이 자신보다 더 중요. 상대의 반응이나 인정에 의해 자신결정. 자신의 긍정적인

태도가치 수용에 도움.

부정적

부정적

두려움-회피형

안전거리 확보형, 자신감 부족, 유능감 부족, 항상

의지할 대상 필요. 상대가 자신을 싫어하거나

떠날까봐 불안, 이 두려움이 친밀한 관계형성을 의식적으로 피하고 일정한 거리 유지.

상처받는 것 두려워함.

현실적 심리적 상처를 이겨낼 수 있는 능력

배양이 중요.


<애착관계에 기초한 대인관계 유형구분>



1. 창시자 : 윌리엄스와 우드(Williams, Wood)


2. 대상 : 정서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정서장애뿐만 아니라 어떤 특성의 내담자에게나 다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장애자 치료에 더욱 효과적

발달이 지체된 내담자들에게 적용


3. 이론적 근거 :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대상이론, 로웬펠드의 미술 표현 발달

단계이론



A. 발달미술치료의 이론



1. 로웬펠드의 미술표현 발달단계이론


a. 난화기(scribble stage :2-4세)


i. 무분별한 긁적거리기 (disordered scribbling)


대개 1세가 되면 나타나서 2세 - 2세반까지 지속되며 이 시기에는 긁적거리기에 대한 시각적 통제를 거의 못한다. 이시기에는 유아들에게 (절대로 요구하지 말아야하며) 형태를 요구 하는 것은 발달단계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며 유아발달에 해를 줄 수 있다.


ii. 조절된 긁적거리기(controlled scribbling)


무질서한 scribbling을 시작한지 약 6개월 정도가 지나면 유아는 자기의 손이나 팔의 움직임과 종이위에 흔적을 깨닫기 시작한다. 이것은 그림 자체는 차이가 없지만 손목이 유연해지고 자신의 동작에 대한 통제를 발견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유아가 손과 눈과 눈의 협응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움직임을 다양하게 시도하다가 3세가 되면 원(둥근 선)을 그리지만 사각형은 못 그린다. 긁적거리기가 정교화 되지만 아직까지는 그런 것과 나타내고자 하는 시각적 표상에는 관계가 별로 없다.


iii. 의도적 긁적거리기(naming of scribbling)


유아가 3세 3세반 4세가 되면 "이건 엄마" "이건 친구" 하면서 이름을 붙이는 단계가 된다. 이 단계는 유아의 사고가 변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scribbling을 자신의 주변세계와 연결시키게 되므로 근육 운동적 사고에서 추상적 상징적인 사고를 바뀌게 된다. 이 새로운 사고를 한 것에 대해서 자신감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b. 전도식기 (pre-schematic stage 4-7세)


보통 4 세쯤 되면 확실한 형태를 알아보기는 어려워도 형태가 나타나며, 5세 때에는 사람 집 나무 같은 확실한 형태가 나타나고 6세 때에는 주제에 따라 확실한 윤곽을 가진 그림을 그린다. 욕구에 따라 원과 수평선 수직선을 사용하는데 전도식기에는 주로 사람의 형태를 나타낸다.


c. 도식기 (7-9세)


사물의 개념을 습득하는 시기이다. 사물에 대한 감각이 지식을 이루고 되고, 이러한 경험이 여러 번 얻어질 때 하나의 개념으로 형성되며, 그것이 그림에서 도식적,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즉 나무는 둥치가 있고 거기서 줄기가 나고 그 끝에 잎이 붙어 있는 것으로 "개념화"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사과는 빨갛고, 하늘은 주관적이 아닌 사물과 관련된 색으로 푸르게 나타난다. 공간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기지선이 등장했다가, 이 시기 끝 무렵에는 사라진다.

디자인 감각이 조금씩 나타난다. 로웬펠트가 말하는 도식이란, 아동이 의도적으로 자기의 개념을 바꾸려 하지 않는 한 반복해서 그리게 되는 형상을 말한다.

사람도식은 아동의 심리적 성장을 반영하는 개별화된 개념을 아동의 생각과 느낌. 가지 주변세계를 지각한 바가 그대로 사람도식에 투사된다. 따라서 가족그림은 상담자에게 유익한 단서가 된다. 어떤 신체부위나 사물을 지나치게 크게 그리거나 생략하는 등 비논리적이고 비현실적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d. 여명기 혹은 또래 집단기 (9세-11세)


자신에 대한 자각의 시기이다. 많은 친구를 갖게 되고 외계를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좀 더 도식적 표현이 사라지고 자기 일방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이 보류된다. 이 기간 동안 도식적 표현과 사실적 표현이 엇갈려 동시에 나타나는 게 보통이다.

율동적, 장식적 표현에 집착하려 한다. 지각이 발달하여 열등감을 느끼거나 장난기 있는 만화그림을 그리기 쉽다. 성적인 묘사(남녀의 차이)를 한다. 주관적 경험에 따라 색을 사용함으로 색 자체보다 그림을 그리게 된 경험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해야 한다.


e. 의사실기 (11-13세)


피아제이론에 따르면 이시기 끝에 이르면 인지구조가 거의 성숙하여 성인이 말하는 단어와 문장 구성능력을 가지게 되므로 성인처럼 행동하려 하고 유심히 관찰한다고 한다. 감정상의 은밀함과 미묘한 갈등을 간직하고 털어내 놓지 못해 불안, 우울해지기도 한다.

이 시기는 합리적인 묘사기이며, 외계 인식적 지능에 표현 기능이 따라가지 못한다. 사실적인 표현 경향이 짙다. 시각형, 촉각형이 분화된다. 관찰묘사에 의존하려 한다. 삼차원적인 공간 공간표현이 나타난다. 즉, 입체와 원근 표현이 나타난다. 색에 있어서도 사물의 색과 같게 표현하려 한다.


f. 결정기(13-14세)


세 개의 표현유형이 결정되는 시기이다. 즉,


(1)시각형 - 외계 현상을 눈에 보이는 대로 묘사한다. 객관적, 인식적, 표현이

강하다.


(2) 촉각형 - 전신의 감각에 의해 촉각적 표현을 한다.


(3) 중간형 - 위의 두 가지 표현의 중간적 성격을 띠는 표현이다.


색체의 원근표현(가까운 것은 진하게, 먼 것은 흐릿하게),삼차원적 명암 및 공간 표현이 익숙해진다.


g. 사춘기 (14-17세)


많은 아동들은 이 시기에 그림에 대한 흥미를 잃기 쉽다고 한다. 시각형과 촉각형의 구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발달 미술치료는 아동의 각 발달 과정 단계에 적합한 치료를 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좌절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스스로의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내담자마다 모두 같은 발달단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어 생활 연령은 7세이나 정신 연령은 감각 운동기의 0∼2세의 수준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내담자에게는 정상적인 7세의 발달단계의 치료를 할 수는 없다. 생활 연령이 아니라 정신 연령에 맞추어 치료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 발달미술치료의 과정


여기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발달미술치료의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a. 1단계 (감각 운동기)


0∼2세의 수준으로 첫 번째 발달 단계이며 이 시기에는 미술재료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여러 재료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감각으로 확실히 인지 될 수 있는 선명한 재료와 색깔을 제시하여 아이가 자신이 한 행위를 확인하고 인지 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미분화된 상태로부터 감각, 지각 그리고 반사와 운동이 세분화되어지기 시작한다. 특히 이 시기에는 자신과 타인의 구분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생후 초기에는 엄마와 자신을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하다가 친밀한 애착관계를 바탕으로 엄마로부터 자신을 분화시킨다.

분화가 이루어지면 아이는 모든 것에 관심을 보이게 되는데 이 시기에 신체적 경험으로 다양한 감각과 운동에 친숙해 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감각 운동기의 재료는 복잡하거나 구조화된 것보다는 단순하고 덜 구조화된 재료가 감각 운동기 아이들에게는 적합하며 여러 새로운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시기이므로 아이가 극복할 수 있는 단순한 재료가 가장 유용하다. 또한 애착관계를 잘 이룰 수 있도록 자기와 타인에 대한 관계 형성 작업도 필요하다.


* 감각변별이 중요하고 다양한 신체경험과 근육, 협응 운동을 필요

새로운 재료와 좋아하는 재료를 탐색하고 잘 놀 수 있게 해주어야 함

냄새를 맡고 만져보며 다양한 감각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 관건

너무 자주 재료를 바꾸지 말고 반복학습이 적절히 들어가야 한다.


* 이시기의 도구 - 진한 펜, 깨끗한 종이,

-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연스런 일반 재료가 더 편안함. (흙, 모래, 물, 풀, 밀가루)

- 감각을 즐겁고 다양하게 자극, 대, 소 근육운동을 도우며

부재료(나무젓가락, 컵 등) 이용하면 인과관계와 조합능력,

조절능력까지 향상시킴


* 풀 그림 예 - 전혀 활동도 못하는 아이 뒤에서 안고 같이 움직이며 그림,

아동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앞으로 와서 아동의 행동을 모방,

아동에게 의미와 주도성을 주려는 의도


* 프로그램 예


크레파스놀이, 매직놀이, 파스텔놀이, 물감놀이(찍기, 스펀지이용, 붓 등), 손가락 풀, 점토놀이, 스티로폼놀이, 구슬놀이, 풍선놀이


b. 2단계(전 조작기)


3∼6세 수준으로 계속적으로 그림이 변화하는 시기이며 아직 사고가 조직적이지는 않지만 상징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조금씩 생겨나는 단계이다. 하지만 이 시기는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에 상징 또한 주관된 현실을 나타내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이때는 상징이 발달하는 시기인 만큼 상징화 능력을 키워야 할 시기이며 모방과 흉내 그리고 연상놀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제 감각 운동기에 발달하지 못했던 소근육의 발달 즉 운동 발달로 인해 미술 도구를 이용해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해 졌으므로 소 근육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도 유용하다.

이 시기의 정서적인 면에 있어서는 운동과 인지가 조금씩 발달함에 따라 이전 보다 복잡한 것들을 수행 해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어 자율성이 강해지며 자신에 대한 감정을 인식하게 되어 여러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전에는 ‘아프다와 슬프다 무섭다’의 감정을 하나의 감정으로 모두 받아 들였으나 이 시기가 되면 이 감정들이 조금씩 세분화되기 시작한다.


* 상징의 발달- 모방, 연합, 접근의 발달에 따라 이루어짐


모방능력 기르기 - 치료자는 재료 사용하면서 생활 경험을 흉내 내어 보도록 할

수 있다. 극 놀이하면서 사진 사물, 사람을 모방해 보도록 하

거나, 몸짓과 소리를 사용한 모방놀이를 하는 것

호랑이 그려놓고 울음소리 흉내, 호랑이처럼 신체표현을 하는

것.

연상놀이- 한 가지 형태나 색에서 생각나는 여러 가지를 그리거나 말하면서 이루

어진다. 현재 알고 있는 사건이나 사물, 느낌을 연합하는 것

기술의 촉진이 필요- 가위놀이, 색종이 다루기, 물감 사용법, 적절한 도구의

사용


c. 3단계(7∼12세)


이전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화된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조망 수용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자기중심적이기 보다는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능력이 생기며 그림에 있어서는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려고 노력하는 시기인데 이 시기에 보통 사실적인 표현이 안 돼 좌절하거나 자신에 대해 실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적절한 치료가 들어가 주어야 한다.

특히 이 시기에는 그림에 있어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기 인식 프로그램이 들어가기 시작하는데 자화상, 신체 본뜨기, 과거·현재·미래의 나와 같은 프로그램 등을 적용한다

판화의 분류 | 미술학습관련자료 2007-07-04 13:30
http://blog.paran.com/parktag/20261979

볼록판화-고무판화, 목판화, 리놀륨 판화, 지판화, 직판화

볼록판화볼록판화-음각


목판화-음각 출처: 협성중학교 정문현 선생님


출처 http://cafe107.daum.net/_c21_/home?grpid=iZJZ출처 http://cafe.daum.net/GundamSEED


<김준권-북한강에서1>수묵목판 출처 http://www.mokpan.net/main.htm

참고사이트 http://classroom.kice.re.kr/gen_content01/10/9/3/2/1/2182/12_03_woodcut_emboss.ppt

http://www.art2me.org/powerpnt/33-panhwa-2.ppt

오목판화-동판화(에칭), 드라이포인트, 메조틴트, 아쿼틴트, 인그레이빙



출처http://planet.daum.net/pcp/Gate.do?daumid=youngwu6663

참고 사이트 http://planet.daum.net/youngwu6663/ilog/1731641

평판화-석판화(리소그래피), 모노타이프, 유리판화


출처: http://cafe113.daum.net/_c21_/home?grpid=ZcgY http://cafe139.daum.net/_c21_/home?grpid=emFT

제목: 절규 작가:뭉크 형식:석판화 제작년도:1895년경


석판화 출처: 협성중 정문현 선생님

공판화-실크스크린, 스텐실


실크스크린(세리그래피) 작업에 필요한 재료와 용구



에두아드로 파올로지Eduadro Paolozzi,일격,세리그래피 패트릭 휴지스Patrick Huges,계단과 사다리,세리그래피

출처 http://cafe307.daum.net/_c21_/home?grpid=8u2 참고사이트http://cafe.daum.net/printmaking


출처 http://cafe201.daum.net/_c21_/home?grpid=yl0d 네이버 이미지 검색 스텐실 올린이 ycy1957

스텐실참고사이트 http://cafe201.daum.net/_c21_/home?grpid=yopx http://cafe.naver.com/remonterrace/1086045

스텐실동영상 http://play.naver.com/2007060815480017188

미술감상 과제1(명화를 활용한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의 효과)

유아미술교육의 목적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미술은 하나의 문화 현상이며 미술 교육은 하나의 문화 교육이다. 문화는 다양한 예술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활동되고 있으며 예술가들에 의한 예술들이 사회에 받아들여지면서 대중화 또는 생활화 될 떄 발전이 있는 것이다. 발전된 문화는 삶에 의해 표현 되면서 좋은 문화는 우리들의 삶을 가치롭게 한다.

사회가 발달 할수록 문화의 필요성은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미술교육은 사회적 발달현상에 맞추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미술교육을 받으면서 미술에 대한 관심조차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미술교육이 문화 교육으로서 의의를 갖기 위해서는 미술의 광범위한 의미와 내용을 수용해야 하므로 제작 중심이었던 미술교육에서 가장 본질적인 목표는 생활속에서 미를 느끼고 즐기는 인간을 육성하는 것으로 이는 미술감상교육을 통해 지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새로운 매개체로서의 영화나 인쇄매체를 통한 인간의 지각과 의미를 못본체 할수 엇으며 이에 대한 인지활동과 성장활동을 그냥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 미술 교육은 미술을 통한 인간교육이다. 미술교육은 미술작품 자체의 생산을 위해서 전개되는 창작교육과 미술을 통해서 심미적 인간을 양성하기 위하여 전개하는 인간성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삼랑,1992)

유아교육에서는 미술의 표현과정 자체를 교육적 수단으로 삼는데 목적을 두고 인간형성을 위한 미술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유아들은 자신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자기를 표현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나타낸다. 즉, 자신이 느끼거나 생각한 것을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간단히 그림으로 그리거나 입체적으로 표현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미술 활동은 창의적인 면과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미술 활동 경험에서 강조하고 있는것은 자기 표현 능력을 구체화 시키는 것이며 자기 표현 능력은 대부분 미술활동으로 길러질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자기표현 능력을 어떻게 개발하여 창조력을 지닌 사람으로 이끄느냐에 있는 것이다.(Smith,1996;오종숙,1988;재인용)

많은 미술교육 연구자들은 창의성 개발과 자아표현에 중점을 두었던 미술교육의 경향이 근래에 들어 사고하고 이해하며 표현할 수 있는 교육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한다.(노부자,1997;류재만,2000;김창식,2000)

유아미술교육과정이란 미술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유아를 위한 미술 교육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뿐 아니라 학습 활동의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교수 체계를 말한다.(교육부.1995)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미술활동은 표현 생활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표현 생활영역의 미술 교육활동과 관련된 목표들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었는데 모방에서 기능으로 기능에서 내면의 정서를 표현하기까지 표현 중심의 미술 활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서 미술의 본질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감상활동까지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미술활동과 관련된 표현 생활영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술 활동과 관련된 표현생활영역 목표>

유치원 교육과정 년도 표현 생활영역 목표

제1차 1969 유아가 느끼고 생각한 것을 그림으로 그리고 만들게 함

으로써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미적 정서화 창의성 함양

제2차 1979 사회와 자연의 여러 가지 현상에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느끼고 상상하며 이들을 다양하게 표현

하는 능력과 습관 및 태도를 함양

제3차1981 긍정적 태도, 성취감, 심미감 및 창의적표현

제4차1987 느낌과 생각을 자기 나름대로 표현하게 함

제5차 1992풍부한 감성과 상상력을 기르며 자신이 느끼고 생각한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

제6차 1998 자연과 사물의 예술적 요소에 대한 호기심, 창의적표현 능

력, 심미감을 기르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는다.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미술 교육과 관련된 표현생활영역 목표들의 변천을 정리해보면, 제1차 교육과정에서 부터 제 4차 교육과정까지는 유아의 미술활동이 표현활동에 치중하고 있으나 5차 교육과정부터는 감상활동을 강조하고 관련자료를 개발하는 등 유아 미술활동에 대한 시각이 변화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술교육은 미국의 미술교육의 변화와 맥을 같이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유아 미술교육의 가장 큰 전환점은 루소 이후 아동 중심 사상과 함께 실물 교수방법이 도입되면서 이루어졌다.(Brubacher,1996).미술교육의 목적이 기능인 양성이었던 것에 대한 반동으로 19세기 말 부터 자유로운 미술표현과 미술을 통한 창의성 육성 등이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한 목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Lowenfeld & Brittan,1975) 그러나 1960년대 초부터는 유아의 미술능력은 자연적 성숙의 결과이므로 자유로운 내면적 표현에 따른 창의성 계발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는 과거의 입장에 의의를 제기하고 유아도 미술의 요소와 원칙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 되었다. 유아에게도 미술의 역사나 미술 작품에 대한 비평적이고 분석적인 측면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Eisner,1972)

Barkan의 구조적 미술교육에 대한 개념의 영향을 받아서 미술 교육도 타교육과 마찬가지로 체계적인 커리큘럼의 조직을 통해서 학습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노부자,2000) 미술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커리 큘럼에 관련된 의견들은 펜실베니아 회의 (Penn state Seminer ; 1964-66)에 참가했던 교육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하다가 'DBAE(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이라는 용어로 정의 되었으며, 1982년 게티 재단의 등장으로 DBAE 미술교육의 목표, 목적, 교수 및 학습평가 등이 계속적으로 연구 개발 되었다. DBAE에서의 미술 교육의 목적은 미술의 역사와 문화의 이해, 미술작품의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미술 작품을 창조하는 것, 미술 작품의 질을 지각하고 그것에 반응하는 것, 역사와 문화에 있어서 미술 작품이 차지하는 위치를 이해하는 것, 미술작품에 대해 합리적인 판단을 하고 그러한 배경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Dobbs, 1972)

Herberholz와 Hanson(1990)은 유아 미술 교육의 주된 목적을 유아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질 높은 미술 교육을 통해서 아름다운 것 만들기, 즐거움 느끼기, 민감성 감상력을 가지고 미술작품 보기, 문제 해결에 창조적 상상적 방법 활용하기, 모든 교과에 미술을 통합 적용하기, 감정의 표출 및 정서의 순화, 지각적 민감성 기르기 등이 이루어 져야 한다고 제안 하였다.

Schikedanz(1990)은 자기표현 기술과 창의성 발달, 미적 가치인정 능력의 발달 등을 미술 교육의 주된 목적이라고 하였다. 미적요소를 구별하는 능력의 발달, 디자인의 특징을 발견하고 감상하는 능력의 발달, 자신의 작품에 대한 시각의 인정과 비평 능력들을 제시 하였다. 또한 미국의 미술 교육협회인 NAEA(1994)에서도 미술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로 시각적 양식을 통하여 아이디어, 태도 및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최근의 미술 교육의 목표가 표현활동 중심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미술 교육의 목표가 표현활동 중심에서 벗어나 이해와 감상활동도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