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양만녹색연합, 올 한해 섬진강 두꺼비 보호 캠페인 전개
    “로드킬<Road kill>로 죽어가는 두꺼비를 살려주세요”
    진상면 비촌마을 앞 저수지·다압면사무소 앞 등 2곳 모니터링
    집단 로드킬 문제 ‘이슈화’…“생태계 지표종 ‘두꺼비’ 보호 시급”


광양지역의 한 환경단체가 펼치고 있는 두꺼비 보호 캠페인이 관심을 끌고 있다.


광양만녹색연합은 올 한해를 섬진강 두꺼비 보호 활동을 전개키로 결정하고, 지난 3월 경칩 무렵부터 지난달 말까지 꾸준히 광양시 진상면 비촌마을 앞 저수지와 다압면사무소 앞 무논 등 2곳에서 섬진강 두꺼비들의 산란과 서식지 이동을 모니터링 해 왔다.


조사의 목적은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성체 두꺼비들과 서식지로 이동하는 새끼두꺼비들의 로드킬을 막고자 그 원인과 대응방법을 찾기 위해서다.

 

조사결과 진상면 비촌마을 앞 70여 미터 도로구간에서 성체 두꺼비들과 새끼두꺼비들의 집단 로드킬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촌 마을 앞에는 작은 저수지가 있는데 산에서 내려온 성체 두꺼비들이 이곳에 산란을 한 후 다시 산을 올라간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 두꺼비들도 물을 떠나 산을 오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로드킬을 당하며 대부분이 죽게 된다.


‘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김종범 박사는 “두꺼비는 산에서 동면을 한 후 경칩을 전후로 번식기가 되면 산란을 하러 습지로 내려오는 특성을 보인다”며 “산란을 하러 산에서 내려오는 시기와 산란 후 산으로 돌아가는 시기에 로드킬이 많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4월 말에서 5월 중에는 알에서 깨어난 수많은 새끼 두꺼비들이 산란지에서 산으로 올라간다”며 “이 때는 로드킬이 더욱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현상은 비촌마을 주민들에게 익숙하지만 여전히 불편하다.


이미 수 십 년 동안 새끼두꺼비들이 이동하는 것을 봐왔고, 이 시기만 되면 새끼 두꺼비들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것도 예사였지만 마을 앞 도로에서 발생하는 로드킬로 인해 마음도 편치 않고, 심한 악취 등으로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어서다.


이런 이유 등으로 마을 주민 중 일부는 새끼 두꺼비들이 도로로 넘어오지 못 하도록 차단막을 치기도 했다. 주민들이 설치한 차단막이나 배수로 등은 새끼 두꺼비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넘을 수 없는 장벽이며, 이어 나타나는 도로는 ‘킬링필드’와 다름없다.


결국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시설물들로 인해 새끼두꺼비들이 서식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개체는 전체의 2%도 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은 “두꺼비는 수중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오가며 먹이사슬의 중요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 그 자체가 환경 지표종이자 건강한 생태계의 지표종이라 볼 수 있어 보호가 시급하다”며 “섬진강의 문화와 생태계가 함께 공존해가야 하는 광양시는 무엇보다 두꺼비의 서식지가 건강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광양시 관계자는 “두꺼비의 통로가 일정치 않고 너무 광범위 한 상태라 유도 통로를 만들기도 녹록치 않다”며 “관련 예산 등도 확보되지 않고 주민들의 협조도 얻기 어려워 3중 4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애를 태웠다.


이 관계자는 덧붙여 “현재로서는 차량 운전자들의 서행과 관심을 기대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섬진강은 본디 모래가람, 다사강(多沙江) 등으로 불릴 만큼 고운 모래가 유명한 곳이었지만 고려 우왕 때 (1385년) 섬진강(蟾津江)이 됐다고 전한다.


고려시대 왜구가 쳐들어오자 ‘섬거(蟾居)마을’에 살던 수십 만 마리 두꺼비가 섬진나루에 몰려와 울부짖어 왜구를 물리쳐 왕이 지명을 내렸다는 것. 이같은 전설이 있을 만큼 이곳에 두꺼비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

[광주/전남]무등산서 멸종위기 ‘담비’ 1마리 발견

이형주 기자

입력 2015-06-08 03:00:00 수정 2015-06-08 03:00:00

 

 

 

무등산에서 담비가 발견됐다.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는 야생동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한 무인 센서 카메라에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되는 담비 한 마리(사진)가 포착됐다고 7일 밝혔다. 이 담비는 크기가 40∼60cm이며 머리 부분과 꼬리는 검은색, 털은 황갈색을 띠고 있다. 담비는 야행성 동물이지만 봄, 여름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하며 행동반경은 2∼4km다. 무등산 담비는 2013년과 지난해 자연자원조사에서 삵, 하늘다람쥐 등과 함께 확인된 바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2013년부터 무인 센서 카메라 20대를 설치해 야생동물 등을 관찰해 오고 있다.

 
무등산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수달을 비롯해 독수리 수리부엉이 올빼미 팔색조 등 멸종위기 야생조류 7종이 서식하고 있다. 오소리 노루 족제비 고슴도치 등 포유류 10종과 오색딱따구리 등 조류 12종도 확인됐다.

무등산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무등산은 담비뿐만 아니라 야생 동식물 3000여 종이 서식하는 생태계 보고”라며 “수립된 계획에 따라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긴급] 정부, 삼성서울병원 등 ‘메르스 병원’ 24개 공개

등록 :2015-06-07 11:04수정 :2015-06-07 11:35

확진환자 발생 6곳, 확진환자 경유 18곳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7일 오전 11시 정부의 메르스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YTN 화면 갈무리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7일 오전 11시 정부의 메르스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YTN 화면 갈무리
정부는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했거나 확진환자가 경유를 한 삼성서울병원 등 24개 병원 명단을 7일 공개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병원 명단을 포함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조치를 발표했다.

다음은 병원 명단이다.

■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 병원(6곳)

◇ 서울 △삼성서울병원(강남구) △3654서울열린의원(강동구)

◇ 경기 △평택성모병원

◇ 충남 △아산서울의원

◇ 대전 △대청병원(서구) △건양대병원(서구)

 

■ 메르스 확진환자 경유 병원(18곳)

◇ 서울 △서울아산병원(송파구) △여의도성모병원(영등포구) △하나로의원(중구) △윤창옥내과의원(중구)

◇ 경기 △평택굿모닝병원 △평택푸른병원 △365연합의원 △박애병원 △연세허브가정의학과(이상 평택) △한림대동탄성심병원(화성) △가톨릭성빈센트병원(수원) △메디홀스의원(부천) △가톨릭대부천성모병원(부천) △성모가정의학과의원(군포) △오산한국병원

◇ 충남 △단국대의대부속병원(천안) △대천삼육오연합의원(보령)

◇ 전북 △최선영내과의원(순창)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초등생 93% "환경 오염 심각하다"

아이스크림 홈런, 2만 2059명 설문
초등학생 10명 중 9명은 환경 오염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등 가정 학습 프로그램인 아이스크럼 홈런이 제20회 환경의 날(5일)을 앞두고'초등학생이 느끼는 환경의 가치'에 대한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초등학생 2만 2059명이 참가한 이 설문에선 응답자의 93%(2만 459명)가 '환경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대답했다. '심각하지 않다'고 답한 어린이는 1600명(7%)에 그쳤다. 환경 오염이 심각하다고 답한 어린이 중 가장 많은 26%(5238명)가 심각성을 느끼게 만든 현상으로 '지구 온난화'를 들었다. 이어 '토지 오염'(25%ㆍ5121명), '대기 오염'(17%ㆍ3506명), '질병 증가'(10%ㆍ2132명) 순이었다.

환경 오염의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원인에 대해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부족'(29%), '분리 수거 실천 미흡'(27%), '자동차 매연 증가'(17%), '일회용품 사용'(10%), 기타(6%), '하수 처리 부실'(5%), '전기 낭비'(3%), '도로와 건물 건설'(3%) 순으로 꼽았다.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알게 된 주된 경로는 '학교 수업'(3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TV'(32%), '직접 눈으로 보거나 경험'(13%)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전체 응답자의 99%(2만 1898명)가 지금보다 더 적극적인 환경 보호 활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어린이 스스로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환경 보호 활동은 '분리 수거'(4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