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책, 신문, 그리고 교과서로 배우는 통합 논술
통합논술, 책, 신문, 문제 해결력, 접근, 지식, 창의, 사고력, 안목, 경제적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d55dce94392eb5c9087f9cc57b90166b.jpg)
고윤진(서울 배명고 교사)
거의 모든 학생들은 논술의 필요성을 그저 대학 입시에 중요한 대학별 고사쯤으로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논술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논리적 말하기와 논리적 글쓰기라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서 현대 사회의 시민이라면 누구나 갖춰야 할 교양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논술 중에서도 학생들은 특히 경제(통합) 논술이라면 더욱 어렵게 생각하고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데 이를 좀 더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우리들이 주변에서 한번쯤 읽었을 법한 베스트셀러 또는 고전, 그리고 매일매일 받아볼 수 있는 신문, 끝으로 학교에서 자주 만나는 교과서 내용 등을 묶어 사회적 이슈나 쟁점, 그리고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해 볼만한 주제들을 뽑아낼까 합니다.
책을 읽고 신문을 본다는 느낌과 생각으로, 그리고 수업시간 교과서에서 한번쯤 읽어봤을 소재로 논술을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도 부담스럽지 않게 함께 도전해 봅시다.
어렵고 힘들다고 미루지 말고 하나씩 함께 경험해보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bf5804ac32ae84196c6a11cb43eb4ad1.jpg)
김응현(경기 부천부흥중 교사)
지난해 다양한 주제별 통합논술과 함께 유형별 통합논술을 접목하고자 했습니다.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요약형 논술, 의미를 찾아내는 의미설명형 논술, 논제에 맞춰 비판하고 평가하는 비판평가형 논술, 주어진 서론이나 결론에 맞춰 본론 내용을 제시하는 본론중심형, 서론-본론-결론으로 제시하는 정통논술형 논술, 다섯 가지 유형을 섞어 제시하는 혼합형 논술이 그것이었습니다.
2012학년에는 우선 경제 중심 통합 논술 이해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경제 기본 개념과 기초 지식에 상세히 접근하고자 합니다. 초·중·고 경제 교과서에 제시된 기본 개념과 기초를 용어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철학·이야기·신문기사·우화·만화 등 다양한 장르와 접목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또한 경제 현상을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경제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회 현상과 경제 원리를 더 유기적으로 접목하고자 합니다.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놓치고 지나가는 작은 일까지 경제적 안목에서 살펴볼 수 있는 시각을 키우고자 합니다.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fec4099ecb20158a21fba7c24203c4f7.jpg)
김주립(경기 율현중 교사)
요즘 경제를 모르면 살아갈 수 없다고들 합니다. 어른들은 경제를 살리겠다는 정치인들을 지지합니다.
하지만 막상 관심을 갖고 경제라는 과목을 공부해보면 철학과 사회과학에 수학적 모델이 첨가돼 있는, 우리의 현실과는 전혀 걸맞지 않은 학문을 만나게 됩니다. 경제를 선택해 공부하고 있지만 우리 주변에 일어나는 일들과는 너무나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올해 경제논술은 이렇게 거리 있는 우리 현실과 배운 지식을 연결해 보는 작업을 해보고자 합니다. 경제 과목을 선택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기준으로 되도록 학교에서 배운 개념들을 현재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건들과 연결해보며 함께 고민하는 공간을 만들어 갈 생각입니다.
‘다이내믹 코리아’라고 합니다. 앞으로 1년 동안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와 사건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사건들은 경제학적으로 고민해보는 시간은 매우 즐거울 것이라는 기대를 가져봅니다.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3fbc861599de74a4cc0dfb36c0f9b9b6.jpg)
깊은 통찰력과 문제 해결력을 기르자
박세현(부산국제외고 교사)
지식이 중심인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이 돼야 한다. 이런 인간상을 실현하려면 기존의 암기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주입식 교육에서 자기주도적 교육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그리고 각 대학 논술고사에 출제된 제시문 제재 가운데 많은 부분이 경제학 고전이나 경제학 원론에서 뽑은 내용이다. 즉, 신문 기사, 통계 자료 등을 이용해 청년 실업, 경쟁의 공정성, 워킹 맘 같은 경제학 원론으로부터 복지, 사회 계층화, 공기업의 민영화, 정부의 규제, 탄소배출권 거래제, 지적재산권 등 다양하고 실생활적인 주제들이 다뤄졌다.
분석력과 논리력이 중시되는 지식사회에 논술의 이런 출제 경향은 학교에서 경제논술이 반드시 이뤄져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청소년 여러분은 <아하경제>의 경제논술로 깊은 통찰력과 사고력,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fbaf0a0f817a7d50bd2b8261a7bd1027.jpg)
이대희(경기 세종고 교사)
요즘 주요 대학들의 논술고사 출제 경향을 보면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주제로 각각의 제시문을 주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그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며 주어진 주제를 논리적으로 전달하도록 요구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됩니다. 그러면서 경제의 기본원리나 미시·거시 경제 개념을 설명하는 제시문 또는 경제 현상을 나타내는 다양한 통계 수치와 그래프를 정확히 분석하는 능력을 묻곤 합니다.
따라서 2012년도 경제논술은 통합논술의 요즘 출제 경향에 따라 우리 주변의 다양한 현상에서 나타나는 경제 기본원리와 미시·거시 경제개념을 확인하고, 경제 통계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연습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특히, 매일 새로운 경제기사와 경제수치, 그림, 사진 등이 가득 실리는 신문기사를 이용해 논술 문제를 구성, 경제 상식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경제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아하경제> 경제논술을 적극적으로 학습하면 경제 상식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nimg.ahaeconomy.com/news/6/6886/12aa027e7a57c64a19875b4f2b00ba38.jpg)
정은식(경기 안산강서고 교사)
생각하는 힘이 길러지도록 집필할 계획입니다.
논술이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글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즉, 논술의 핵심은 논증력과 표현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현력은 단기간에 집중된 훈련으로 웬만큼 키울 수 있지만 논증능력은 폭넓은 독서와 토론으로 꾸준히 연마해야 합니다. 저는 논술 지면에 사물을 다각도로 볼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해 여러분의 생각을 넓힐 수 있도록 집필하려고 합니다.
경제이론의 깊이를 쉽게 느낄 수 있도록 집필할 계획입니다.
경제는 공기 같아서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지만 있다고 해서 쉽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 지면에서 평소에는 당연히 생각한 것도 경제학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사물을 구조적이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이론적 시각을 갖도록 돕겠습니다.
< 아하경제 / info@ahaeconmy.com > 2012-03-05 09:09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과 불행? 무엇 때문인가요?-아하경제2012.1.5 (0) | 2013.01.12 |
---|---|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 의미하는 것은?-아하경제 (0) | 2013.01.12 |
기업이 지역에서 환영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아하경제 (0) | 2013.01.12 |
다수결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일까요?-아하경제2012-12-17 (0) | 2013.01.12 |
다양성을 보장해야 하는 이유-아하경제2013.1.2 (0) | 201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