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유물 2750여점 한국기증 日후지즈카씨 별세
[동아일보] 2006-07-08 03:19
[동아일보] 2월 추사 김정희의 유물 2750여 점을 경기 과천문화원에 기증해 화제를 모았던 일본인 후지즈카 아키나오(藤塚明直) 씨. 기증 후 “추사의 유물을 모두 한국에 넘겨줬으니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입버릇처럼 말해 왔다는 그가 4일 일본 도쿄의 한 병원에서 별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4세.

최종수 과천문화원장은 8일 “후지즈카 씨가 자녀가 없어 조카딸이 5일 화장했고 조만간 가족묘지로 유골을 안치할 것이라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그가 기증한 유물은 일제강점기 경성제대 교수였던 후지즈카 씨의 아버지 후지즈카 지카시(藤塚隣·1879∼1948) 씨가 모은 것으로 서화 46점, 책 2480점 등 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후지즈카 씨의 아버지는 세한도(국보 180호) 등을 수집한 뒤 1944년 일본으로 귀국했으나 그해 12월 서예가 손재형(1908∼1981) 씨의 설득으로 세한도를 아무 대가 없이 한국에 돌려줬다.

후지즈카 씨는 추사 유물을 돌려준 데 대한 공을 인정받아 5월 18일 주일 한국대사관을 통해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현재 유물 분류작업 중인 과천문화원은 9월 중 유물 일부를 공개할 예정이다.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세상을 보는 맑은 창이 되겠습니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학점 나쁘면 교원자격증 못받는다
[연합뉴스] 2006-07-05 05:31
교육혁신위 교원양성 개선안 마련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을 졸업해도 학점이 나쁘면 교원자격증을 받지 못하게 된다.

교육혁신위원회는 교원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런 내용의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방안에 따르면 교육대학, 사범대학을 졸업하거나 일반대학 교직과정 등을 이수할 경우 지금은 시험과정 없이 교원자격증을 주지만 앞으로는 일정한 평점에 미달하면 교원자격증 발급을 제한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혁신위에 '대학 평균 평점이 C학점 미만인 경우'로 의견을 냈으며, 혁신위는 졸업평균 평점이 100점 만점에 70점 또는 75점 미만인 경우 교원자격증 발급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렇게 될 경우 예비 교사들이 보다 수업에 충실하게 돼 교원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학점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교원자격증을 주지 않는 것은 지나치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예상된다.

교육혁신위는 이와 함께 교원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해 교육과정 최소 기준 이수 여부 및 교직 적성 인성 평가 등을 거쳐 적격자에 한해 교원자격증을 발급하도록 했다.

또 교원부적격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교원자격증 발급을 제한하는 기준을 대학들이 마련하도록 권고키로 했다.

교육혁신위는 14일 본회의에서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며최종안이 통과되면 이르면 2008학년도부터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혁신위는 현재 2단계인 교원임용절차를 3단계로 바꾸고 장기적으로 6년제 교원전문대학원 체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ofcourse@yna.co.kr (끝)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 NATE/ⓝ/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칭찬 많이 받고 준비물 잘 챙길수록 ‘기초학력 높았다’
입력: 2006년 07월 04일 18:09:01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초등학생 비율이 매년 꾸준히 줄고, 도·농간 학력격차도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지난해 10월 초등학교 3학년생 1만9천2백57명(전체의 3%)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4일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은 2005년 읽기 2.97%, 쓰기 2.66%, 기초수학 5.04%로 조사됐다. 이는 평가를 처음 실시한 2002년의 3.45%, 3.00%, 6.84%에 비해 미달학생 비율이 읽기 0.48%포인트, 쓰기 0.34%포인트, 기초수학 1.8%포인트 각각 감소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대도시보다 읍·면 지역의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이 더 높았지만 그 격차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대도시와 읍·면간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 격차는 2002년 읽기 2.18%포인트, 쓰기 2.16%포인트, 기초수학 3.87%포인트였으나 2005년에는 읽기 1.32%포인트, 쓰기 1.26%포인트, 기초수학 2.90%포인트였다.

성별로는 읽기 분야에서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남학생이 3.97%, 여학생이 1.89%, 쓰기는 남학생 3.83%, 여학생 1.41%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지만, 기초수학은 남학생 4.56%, 여학생 5.55%로 남학생이 나았다.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 분석 결과 ▲교사에게 칭찬을 많이 받고 ▲독서를 많이 하며 ▲부모와 대화를 자주 나누고 ▲학습 준비물을 잘 챙기는 학생일수록 기초학력이 높았다.

교사에게 칭찬을 듣는 학생의 점수는 읽기 92.1점, 쓰기 93.69점, 기초수학 91.20점인 반면 칭찬을 들은 적이 없는 학생의 점수는 각각 82.43점, 85.63점, 82.27점이었다.

학습 준비물을 항상 챙기는 학생도 전혀 챙기지 않는 학생보다 읽기 16.29점, 쓰기 15.7점, 기초수학 14.83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창민기자 iski@kyunghyang.com〉
대졸사원 60% “대학교육 도움 안돼”
입력: 2006년 07월 04일 22:35:49
국내 대졸 근로자 10명 중 3명은 현재 자신의 업무를 하는 데 대학교육이 필요없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명 중 3명은 대학이 기업이 요구하는 것을 가르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달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대학을 졸업한 남녀 근로자 1,019명을 대상으로 ‘대학교육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결과 근로자의 28.2%는 ‘자신에게 맡겨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항목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대학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46.0%에 그쳤다. 자신의 업무를 하기 위해 대학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근로자는 남성(24.2%)보다는 여성(32.7%), 대기업 근로자(21.7%)보다는 중소기업 근로자(32.2%), 사무직(27.7%)보다는 생산직(32.6%)이 더 많았다.

또 근로자의 60.3%는 대학교육이 기업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해 국내 대학이 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로자의 55.4%는 ‘다시 대학을 다닌다면 다른 전공을 선택하겠다’고 답변했다. 전공을 바꾸겠다는 근로자는 교육계열 전공자가 66.7%로 가장 많았고, 예·체능계열(64.0%), 공학계열(61.6%), 자연계열(53.5%), 인문계열(50.8%) 등의 순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대학교육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대학을 졸업한 근로자들은 대학교육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명애기자 glaukus@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