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쓰레기와 나’
‘코로나니까’ 시킨 택배 풀면
에어캡, 스티로폼, 플라스틱
산처럼 쌓이는 쓰레기 쓰레기…
‘뭘 이렇게 많이 버리나’와
‘이 정도면 괜찮아’ 사이 줄타기
덜 쓰고 덜 버리는 일에
한발씩 한발씩 다가간다면

2020.11.26 봉사활동 '위험한 구덩이 메우기' (0) | 2020.12.06 |
---|---|
2020.11.13(금)자연히 누에농장 체험 (0) | 2020.11.14 |
2020.10.23 고구마요리 실습 (0) | 2020.11.02 |
2020.10.12 고구마 수확하는 날 (0) | 2020.11.01 |
2020.10.16 자연으로'이모티콘 만들기' (0) | 2020.10.17 |
최은영 입력 2020.11.08. 16:26 수정 2020.11.08. 18:59
[아시아경제 최은영 기자] 음료 제품에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부착을 금지하는 내용의 규칙 개정안이 마련돼 앞으로는 음료에 부착된 일회용 빨대를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8일 환경부는 최근 '제품의 포장 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내달 9일까지 의견을 수렴한 후 논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포장재에 불필요한 잡자재를 부착하는 행위가 포장재의 재활용 자체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자원 낭비 등의 문제도 초래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정안 내용을 보면, 먼저 제품을 포장할 때는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를 활용하고 제품을 수송하기 위해 포장을 하면 합성수지 재질이 아닌 테이프 및 완충재를, 고흡수성 수지가 아닌 소재가 냉매로 든 아이스팩 사용을 권고했다.
또한, 수송 목적의 종이 포장재에 금속박이나 비닐류를 접합·도포·부착하는 행위와 함께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를 부착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이와 함께 택배 포장 시 과대포장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포장의 경우 포장 공간 비율을 50% 이하, 포장 횟수는 1회 이내로 제한했다. 이 제도는 제조 또는 수입되는 제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 부착을 금지한 것과 관련해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뜨거운 찬반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 누리꾼은 "환경을 생각해 어떻게든 줄여야 한다", "조금은 불편하지만 환경보호와 자원절약 차원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해본다"라며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최근 온라인 상에서는 "빨대는 반납합니다"라며 매일·남양 유업을 상대로 글루건으로 상품에 붙은 빨대를 반납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소비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이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빨대가 없으면 음료를 마시지 못한다.", "매번 칼이나 가위로 자르기는 어렵다" 등의 이유로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반발을 인지하고 있으며 입법 예고 기간에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부착한다든지 빨대를 매대에 놔둬 필요한 사람만 갖고 가게 하는 등 다른 방안을 계속 권고하고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은영 인턴기자 cey1214817@asiae.co.kr
강원도자연학습원 비대면 수업안내 (0) | 2020.11.20 |
---|---|
[다이노+] 어른과 붕어빵처럼 닮은 2억 년 전 새끼 공룡 발견-서울신문2020.11.18 (0) | 2020.11.18 |
혼자 사는 나 하나 안 쓰고 안 버리면 지구는 행복해질까-한겨례2020-11-08 (0) | 2020.11.08 |
바이든 "파리기후협약 재가입하겠다"-더팩트2020.11.05 (0) | 2020.11.08 |
천연기념물 추진중인 800년된 은행나무-뉴스1코리아 2020.11.05 (0) | 2020.11.08 |
등록 :2020-11-08 08:53수정 :2020-11-08 09:03
[다이노+] 어른과 붕어빵처럼 닮은 2억 년 전 새끼 공룡 발견-서울신문2020.11.18 (0) | 2020.11.18 |
---|---|
'빨대 꽂아 쪽쪽' 팩음료 사라지나.."아이들 먹기 힘들어" vs "환경생각해야"-아시아경제2020.11.08 (0) | 2020.11.08 |
바이든 "파리기후협약 재가입하겠다"-더팩트2020.11.05 (0) | 2020.11.08 |
천연기념물 추진중인 800년된 은행나무-뉴스1코리아 2020.11.05 (0) | 2020.11.08 |
부끄러운 한국 플라스틱 쓰레기..미·영 다음으로 많이 버린다-중앙2020.11.02 (0) | 2020.11.02 |
美 대선] 바이든 "파리기후협약 재가입하겠다"
![]() |
조 바이든 미국 대선 민주당 후보는 4일 (현지시간) 대통령에 취임한다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파리기후협약에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선거 직후 연설하고 있는 바이든 후보의 모습. /AP.뉴시스 |
"77일 뒤에 재가입하겠다" 승리 자신감
[더팩트ㅣ박재우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선 민주당 후보는 4일 (현지시간) 대통령에 취임한다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파리기후협약에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 바이든 후보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했다고 보도한 기사를 인용하면서 "정확히 77일 안에 바이든 행정부는 파리기후협약에 다시 가입하겠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가 올린 '77일'은 이날부터 차기 대통령 취임식이 열리는 1월 20일을 의미한다. 승리가 유리한 시점에서 자신이 실시하는 첫 공약으로 '기후협약 가입'을 내세운 것이다.
파리기후협약 복귀는 바이든 후보가 기후변화를 음모론으로 치부하고 국제적 협약을 탈퇴해버린 트럼프 정부의 '과오'를 되돌려 놓는다는 의미로 내세운 상징적 공약이다.
앞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6월 협약 탈퇴를 선언한 후 지난해 11월 4일 탈퇴 절차를 시작했다. 협약 규정에 따라 절차 개시 후 1년이 지난 4일 미국의 탈퇴가 공식 발효됐다.
한편, 2015년 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본회의에서 195개 당사국이 채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혁명 이전보다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빨대 꽂아 쪽쪽' 팩음료 사라지나.."아이들 먹기 힘들어" vs "환경생각해야"-아시아경제2020.11.08 (0) | 2020.11.08 |
---|---|
혼자 사는 나 하나 안 쓰고 안 버리면 지구는 행복해질까-한겨례2020-11-08 (0) | 2020.11.08 |
천연기념물 추진중인 800년된 은행나무-뉴스1코리아 2020.11.05 (0) | 2020.11.08 |
부끄러운 한국 플라스틱 쓰레기..미·영 다음으로 많이 버린다-중앙2020.11.02 (0) | 2020.11.02 |
0.1% 안에 들어야 '연봉 1억'..의사보다 되기 힘든 나무의사-2020.10.24 (0) | 2020.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