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부산지역 학원업계에 따르면 학원들이 학생들의 봉사활동이나 독서 관리까지 나서는 등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대비한 강좌를 개설해 성업 중이다. 학원들은 입학사정관 면접에 대비한 예상 질문을 유명 대학과 고교별로 맞춤형으로 뽑아 훈련하는가 하면 자기소개서나 학습계획서 만드는 법 등을 지도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에 부담을 느끼는 학부모들은 경제적 부담이 되더라도 '울며 겨자 먹기'로 학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
특목고 진학을 목표로 중학교 2학년 아들을 종합학원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 김모(여·43·부산 해운대구 좌동) 씨는 "한 달 수업료가 60만 원가량으로 부담이 되긴 하지만 학교에서 해주지 않는 독서와 봉사활동 등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도움이 되는 사항들을 지도해 주니 학원에 보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입학사정관제가 학습이나 활동 계획을 스스로 찾고 실천하는 능력을 배양한다는 '자기주도 학습' 취지가 무색해지는 것은 물론 새로운 사교육비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외고 과학고 등 특목고에 입학사정관제가 전면 도입되면서 중학생, 심지어 초등학생까지 '입학사정관제를 정복하기' 위한 사교육을 받고 있다. 부산의 한 학원 원장은 "기존 논술 위주의 사교육시장이 입학사정관제 대비반으로 그대로 이동했다고 보면 된다"며 "중학생은 독서계획 수립, 진로 고민 등을 사실상 혼자 하기 불가능하기 때문에 학원 문을 두드리고, 특히 초등학생도 미리 준비하기 위해 입학사정관 대비 프로그램을 많이 찾고 있다"고 말했다.
동아대 강기수(교육학과) 교수는 "정부의 입학사정관제 확대 정책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다 보니 정보와 대비가 부족한 학부모와 학생들이 불안한 마음에 사교육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면서 "입학사정관제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학교는 물론 학부모·학생이 준비할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를 갖고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입학사정관제
입시 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Admissions Officer)이 학생의 성적뿐 아니라 개인환경과 잠재력,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다. 2008학년도 서울대 등 10개 대학을 시작으로 최근 특목고와 일부 자율형 사립고 등 고교에까지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