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획 첫날 드론 영상에 잡힌 밍크고래. LIA 제공 혼획 첫날 드론 영상에 잡힌 밍크고래. LIA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7/imgdb/original/2021/0107/20210107503710.jpg)
![혼획 13일째인 지난 6일 촬영된 밍크고래. 정치망의 가장 끝쪽 그물로 옮겨졌다. LIA 제공 혼획 13일째인 지난 6일 촬영된 밍크고래. 정치망의 가장 끝쪽 그물로 옮겨졌다. LIA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8/imgdb/original/2021/0107/20210107503711.jpg)
![지난 6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혼획된 밍크고래. 해양경찰이 불법포경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속초해양경찰서 제공 지난 6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혼획된 밍크고래. 해양경찰이 불법포경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속초해양경찰서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700/1050/imgdb/original/2021/0107/20210107503712.jpg)
sbtmqhrl
http://news.ebs.co.kr/ebsnews/menu1/newsAllView/20433839/H?eduNewsYn=N&
<뉴스G>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의 2020년
김이진 작가 | 2021. 01. 12 | 107 조회
[EBS 뉴스G]
박민영 아나운서
오늘 뉴스G도 소개해주시죠.
금창호 기자
네. 2020년은 야생동물들에게도 혹독한 해였습니다.
폭염과 산불 홍수 등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이상기후 속에서 힘겨운 생존을 이어가야 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가 코로나19 방역에 온 힘을 쏟은 지난 한 해, 기후위기 현실을 일깨웠던 야생동물들, 뉴스G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진흙을 뒤집어쓴 남극의 아기펭귄과 꺼지지 않는 산불 속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구한 코알라 그리고, 굶주림에 지쳐 인간에게 구걸하는 북극곰.
작년 한 해는 야생동물들에게도 혹독한 한 해 였습니다.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멈추며 자연은 잠시 숨통이 트였지만 동시에 지난 10년간 누적된 환경파괴가 산불과 홍수 극지방까지 덮친 고온현상으로 드러나며, 야생동물의 생존을 위협했습니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호주를 집어삼킨 산불로 희생된 야생동물은 약 30억 마리.
최대 피해자는 코알라였습니다.
만약 지구온난화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코알라는 30년 안에 멸종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습니다.
1년째 꺼지지 않는 아마존 열대우림 화재로 재규어와 악어 등 야생동물도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작년 2월 영상 20도를 기록한 남극.
아델리 펭귄이 떼죽음을 당했고 턱끈 펭귄 7만 쌍도 사라졌습니다.
평균기온이 5도나 상승한 북극에선 앞발이 노랗게 물든 북극곰이 자주 목격됐습니다.
얼음이 녹아 바다표범을 사냥할 수 없게 되자 새의 알을 먹이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2035년에는 북극의 바다얼음이사라지고 현재 지구상에 남아 있는 약 3만 여마리의 북극곰 또한 2100년 경엔 멸종할 것이라는 연구도 나왔습니다.
2020년도 세계가 목격한 이상기후는 앞으로 본격화될 기후위기의 예고편이 시작됐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리고 그 예고편의 주인공은 야생동물이었습니다.
지구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인간뿐.
작년 한 해 , 죽음으로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은 2021년, 세계가 무엇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하는지 다시금 일깨우고 있습니다.
인적 끊긴 다이빙 명소, 멸종위기 거북 천국 '알까기 행렬'-한국2021. 01. 21. (0) | 2021.01.22 |
---|---|
[플라스틱 중독사회]②옷을 빨고, 음식을 먹을 때도…우린 ‘미세플라스틱’ 피해자이자 가해자-경향2021.01.22 (0) | 2021.01.22 |
한국,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 OECD 1위 (0) | 2021.01.13 |
"인간이 문제"..그물에 걸린 새끼 사슴 넉 달 만에 구조-서울신문2020. 12. 28 (0) | 2021.01.03 |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4 |
[플라스틱 중독사회]②옷을 빨고, 음식을 먹을 때도…우린 ‘미세플라스틱’ 피해자이자 가해자-경향2021.01.22 (0) | 2021.01.22 |
---|---|
<뉴스G>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의 2020년-[EBS 뉴스G] 2021. 01. 12 (0) | 2021.01.14 |
"인간이 문제"..그물에 걸린 새끼 사슴 넉 달 만에 구조-서울신문2020. 12. 28 (0) | 2021.01.03 |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4 |
"인간이 미안해" 평생 머리에 화살 박힌 채 살아야 하는 사슴 사연-서울신문 2020.12.19 (0) | 2020.12.19 |
등록 :2021-01-07 17:05수정 :2021-01-07 17:53
환경교육포털사이트www.youtube.com/keepyoutube (0) | 2021.04.09 |
---|---|
지리산 할머니의 순간이 모여 일생을 이룬다 | 환경스페셜 "순간" (2011년 11월 2일 방송) - YouTube (0) | 2021.04.03 |
느닷없이 선박에 충돌하는 고래..알고보니 비닐 삼켜 '복통' 몸부림-경향2020. 12. 20. (0) | 2020.12.24 |
'플라스틱 산'에 갇힌 한국..정부 칼 뺐다-시사저널2020. 12. 24 (0) | 2020.12.24 |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3 |
권윤희 입력 2020. 12. 28. 15:51
[서울신문 나우뉴스]
그물 하나를 통째로 머리에 이고 다니던 새끼 사슴이 무사히 구조됐다. 22일(현지시간) 미국 방송 KCRA3은 캘리포니아 주 어류 야생 동물보호국(CDFW)의 새끼 사슴 구조 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보도했다.
지난 9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카운티 나토마 호수 근처에서 처음 목격된 사슴은 형형색색 털실로 만든 그물 하나를 통째로 머리에 이고 있었다. 현지언론은 먹이를 찾아 주택가를 배회하던 사슴이 가정집 뒷마당에 설치된 ‘해먹’ 줄에 걸렸다고 전했다. 해먹은 기둥 사이나 나무 그늘에 달아매어 침상으로 쓰는 그물의 일종이다.
목격자들은 “털실로 짠 해먹 그물은 물론 금속 기둥, 심지어 코드까지 몽땅 뿔에 뒤엉켜 있었다”면서 “사슴이 많이 지쳐 보였다”고 설명했다. 10월 짝짓기 기간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때라 다른 사슴까지 그물에 얽힐 수도 있다는 우려가 번졌다.
하지만 구조는 쉽지 않았다. 1살이 넘은 사슴은 캘리포니아주 어류 야생 동물보호국 허가가 있어야 접근이 가능한 데다, 사슴의 경계심 또한 높아 포획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현지 동물단체는 추적 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슴의 일거수일투족은 관찰했다.
그리고 지난 19일 캘리포니아주 어류 야생 동물보호국은 사슴 포획에 성공했다. 보호국 소속 데이비드 몰렐 박사는 마취총으로 사슴에게 진정제를 투여한 후 뒤엉킨 그물을 뿔과 함께 제거했다. 보호 당국은 사슴이 밀렵꾼 눈에 띄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잘린 뿔은 내년 봄 뿔갈이 때 새로 자랄 것이다. 다 자란 수사슴 뿔은 매년 봄 저절로 떨어진 후 새로 자란다. 말랑말랑 새로 난 어린뿔을 잘라 건조한 것이 약재로 쓰이는 녹용이다.
관련 당국은 넉 달 만에 자유의 몸이 된 사슴을 방생하는 한편,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고 거듭 당부했다. 캘리포니아 어류 야생 동물보호국 측은 “사슴에게 먹이를 줘 버릇하면 자꾸 주택가로 내려와 빨랫줄이나 해먹, 배구 네트, 전선에 얽힐 위험이 있다”면서 “먹이를 주지 말라. 불법이다. 주지 않아도 괜찮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해먹 사슴’이 처음 목격된 지 2주 만에 같은 지역에서 그물에 뒤엉킨 또 다른 사슴이 등장한 바 있다. 뿔에 그물이 뒤엉킨 사슴은 발을 내디딜 때마다 줄에 걸려 절뚝거리며 위태롭게 발을 내디뎠다. 보호 당국은 “아무 생각 없이 먹이를 주는 행동은 생각지도 못한 방식으로 야생동물을 위험에 빠트린다. 사슴 사이에 질병이 퍼질 수도 있고 산사자 같은 포식자를 유인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뉴스G>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의 2020년-[EBS 뉴스G] 2021. 01. 12 (0) | 2021.01.14 |
---|---|
한국,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 OECD 1위 (0) | 2021.01.13 |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4 |
"인간이 미안해" 평생 머리에 화살 박힌 채 살아야 하는 사슴 사연-서울신문 2020.12.19 (0) | 2020.12.19 |
[영상] '산악열차 예정지' 지리산에 반달가슴곰 출현-오마이2020.12.17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