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기관들 2008 大入 등급별 지원 전망![](http://img.thescience.co.kr/icon/pic_arrow.gif)
첫 한파 녹인 첫 등급제 대입설명회 18일 중앙학원이 연세대 대강당에서 개최한 입시설명회에 4000여 명의 수험생과 학부모가 참석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대학입시 전략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원대연 동아일보 기자
![](http://news.dongascience.com/MEDIA/Photo/2007/11/19/20071119-19.jpg)
2008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서울대 법대와 고려대 법대, 성균관대 의대 등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 4개 영역에서 모두 1등급을 받아야 합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고려대 연세대 등 7개 사립대가 공동입시설명회를 연 데 이어 18일에는 중앙학원, 대성학원, 유웨이중앙교육 등 사설 입시기관들이 잇달아 입시설명회를 열고 대학별 지원가능 등급 전망치를 내놨다.
▽서울대 1등급 돼야 안전=입시기관들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의 평균 등급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을 산출했지만 내신과 논술 변수가 있는 만큼 참고용으로만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기관별 차이가 있지만 인문계열의 경우 서울대 법대와 경영대, 사회과학대, 고려대 법대는 언수외탐 모두 1등급 안에 들어야 합격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언수외탐 평균이 1.1등급일 경우 서울대 사회교육계열, 성균관대 글로벌경영, 연세대 경영계열, 1.2등급이면 서강대 경영학부, 연세대 사회과학계열에 합격할 수 있다.
1.3등급에선 서강대 경제학부, 이화여대 영어교육과에, 1.4등급에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중앙대 신문방송학부 등이 합격권으로 분류됐다.
자연계열의 경우 가톨릭대 성균관대 아주대 등 주요
의대와 경희대 한의예과가 언수외탐이 모두 1등급이어야 합격 가능하다. 1.1등급이면 서울대 생명과학부와 한양대 의예과 등에 지원할 수 있고, 1.2등급은 서울대 화학부, 동국대 한의예과, 성균관대 약학과에 합격할 수 있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과나 바이오시스템조경학과 등은 1.5등급이어도 지원이 가능하다.
▽등급제 수능에 혼선=이날 영하권의 날씨에도 불구하고 입시 정보에 목마른 수험생과 학부모가 설명회장마다 4000여 명씩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
특히 등급제 수능이 처음 실시되면서 1, 2점 차로 등급이 바뀌는 가운데 많은 수험생은 입시전략을 짜는 데 어려움을 토로했다.
연세대에서 열린 중앙학원 입시설명회에 나온 재수생 김정연(19) 씨는 “언어와 수리가 모두 2, 3등급 경계선에 있어 당장 수시 2-2에 지원할지, 정시 논술을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라며 “배치표만 봐선 어떻게 지원전략을 짤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학부모 김선영(45) 씨는 “수능등급제에선 실력 차이가 있어도 한 등급으로 묶고 세부성적을 제공하지 않아 지원전략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많다”며 “특히 1, 2점으로 등급이 갈리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내신 논술이 당락에 결정적=입시 전문가들은 올해 입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내신과 논술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수능에서 원점수 차가 커도 등급이 같은 학생들이 한 모집단위에 몰릴 경우 결국 학생부와 논술 성적 1, 2점이 당락을 결정지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모집단위에 따라 학생부 반영영역이나 반영비율이 다르고, 비교과영역 반영 여부도 달라 반드시 학생부에서 자신의 감점을 따져 보고 지원해야 한다.
또 수리 ‘가’형이 쉽게 출제돼 교차지원에 큰 이득이 없고, 동점자가
많아지면서 학교별 동점자 처리 기준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대성학원 이영덕 평가이사는 “올해 입시의 경우 전형요소별로 예측하지 못할 변수가 많아 합격선 추정이 매우 어렵다”며 “0.1점 차가 당락을 가를 가능성이 매우 높아 논술 대비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 평균 등급별 지원 가능 대학 참고자료
인문계열 |
등급 평균 | 언어+수리+외국어+사탐 |
1.0 | <서울대> 법대 경영대 사회과학대 국어교육 인문계열1 <고려대> 법대 |
1.1 | <서울대> 인문계열2 사회교육계열 외국어교육계열 <고려대> 경영대 정경대 <성균관대> 글로벌경영 <연세대> 경영 법학계열 |
1.2 | <서울대> 교육학국민윤리교육과군 인류지리학과군 소비자아동학부 농경제사회학부 <고려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역사교육 국제대학 <서강대> 경영학부 <연세대> 사회과학계열 언론홍보영상학부 상경계열 외국어문학부 |
1.3 | <고려대> 국제어문학부 언론학부 교육학 <서강대> 경제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법학계열 <성균관대> 법학 <연세대> 인문학부 <이화여대> 영어교육 초등교육 <한양대> 법학 |
1.4 | <고려대> 인문학부 지리교육 <서강대> 사회과학계 국제문화Ⅰ·Ⅱ <서울시립대> 세무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연세대> 생활과학부 <이화여대> 국어교육 언론홍보영상학부 <중앙대> 신문방송학부 광고홍보 <한국외국어대> 영어교육 영어통번역 <한양대> 영어교육 |
1.5 | <경희대> 관광학부 <동국대> 경찰행정 <서울시립대> 도시행정 <성균관대> 인문과학계열 <연세대> 간호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중앙대> 영어교육 경영학부 법학 <한국외국어대> 영어 영문 중국어 한국어교육 <한양대> 국어교육 |
1.6 | <경북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경희대> 언론정보학부 영어학부 <서울시립대> 행정 <성균관대> 교육 <이화여대> 교육 <전남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중앙대> 정경계열 영문 <한국외국어대> 언론정보학부 국제학부 <한양대> 경영학부 사회과학부 <홍익대> 영어교육 |
1.8 | <건국대> 법학 정치대학 상경대학 <경북대> 일반사회교육 행정 <경희대> 법학부 경영학부 사회과학부 <부산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국제관계 <숙명여대> 영문 경영학부 <숭실대> 미디어학부 <이화여대> 경영학부 인문과학부 <인하대> 영어교육 <전남대> 사회교육 교육 <전북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중앙대> 교육 사회 <한국외국어대> 경영학부 일본어 행정 <한양대> 정보통신학부 영문 <홍익대> 국어교육 역사교육 |
자연계열 |
등급 평균 | 언어+수리+외국어+과탐 |
1.0 | <서울대> 의예 약대 <가톨릭대> 의예 <경희대> 한의예 <고려대> 의예 <성균관대> 의예 <아주대> 의예 <연세대> 의예 치의예 <울산대> 의예 <전남대> 의예 <중앙대> 의예 |
1.1 | <서울대> 생명과학부 건축 화학생물공학부 <연세대(원주)> 의예 <전남대> 의예 <한양대> 의예 |
1.2 | <서울대> 화학부 수의예 전기컴퓨터공 수학교육 <동국대> 한의예 <성균관대> 약학 <영남대> 의예 <중앙대> 약학부 <충북대> 의예 <포항공대> 단일계열 |
1.3 | <서울대> 수리과학부통계학과군 기계항공공학부 재료공학부 <경희대> 약학 <부산대> 약학부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 <숙명여대> 약학부 <전남대> 약학부 <충남대> 약학부 <충북대> 약학 |
1.4 |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과학교육 공학계열 <연세대> 생명과학공학부 |
1.5 | <서울대> 건설환경공 지구환경과학 의류식품영양 <건국대> 수의예 <고려대> 수학교육 <연세대> 화공생명공학부 |
1.6 | <서울대> 농생명공 식물생산 간호 바이오시스템조경 <경북대> 수의예 <고려대> 생명과학계열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영남대> 약학부 <전남대> 수의예 <전북대> 수의예 <충남대> 수의예 <충북대> 수의예 |
1.8 | <경북대> 수학교육 <고려대> 신소재화공 컴퓨터통신 기계공 <부산대> 수학교육 <서강대> 전자공 컴퓨터공 <서울시립대> 도시공 <성균관대> 수학교육 <연세대> 공학부 자연과학부 간호 <한양대> 수학교육 전자통신컴퓨터 건축학부 |
2.0 | <건국대> 수학교육 <고려대> 이과대학 가정교육 <부산대> 화학교육 <서강대> 자연과학부 기계공 <서울시립대> 교통공 <성균관대> 정보통신 <한양대> 정보통신 도시건설환경 |
자료: 중앙학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