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전 100배 즐기기
그의 여인들을 보면 그가 보인다

‘위대한 세기-파블로 피카소’전이 이번 토요일(20일) 개막한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9월 3일까지 계속되는 이 전시에는 피카소의 전 생애에 걸쳐 시기별 대작과 걸작을 포함한 140여 점이 선보인다.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로 불리는 피카소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사실상 국내 최초의 대규모 회고전인 것이다. 이번 전시를 제대로 감상하려면 어떤 점에 주목하면 좋을지, 이번 전시의 커미셔너인 서순주씨의 도움말로 살펴본다.

작품 이해의 열쇠, 피카소의 여인들

피카소의 작품은 철저히 자전적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글로 자서전을 쓸 때 나는 그림으로 내 자서전을 쓴다”고 했다. 따라서 그의 삶을 아는 것이 작품 이해의 첩경이다. 미리 알고 가기 힘들다면, 전시장에 걸린 피카소의 연대기라도 자세히 읽어보는 게 좋겠다.

피카소의 삶에서도 작품 이해의 가장 중요한 열쇠는 여인들이다. 피카소는 92년의 생애 동안 수없이 많은 여인을 만났고, 누구보다 정열적으로 여인을 사랑했으며, 새로운 여인을 만날 때마다 새로운 작품 세계를 열었기 때문이다. 그의 작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7명의 여인과 각각 함께 한 기간은 피카소 작품 표현양식의 변화에 따라 그 경향을 구분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그들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가 ‘아무개 시대’라고 불러도 좋을 정도다. 즉 페르낭드 시대(1904~1912), 에바 시대(1912~1915), 올가 시대(1917~1935), 마리 테레즈 시대(1927~1937), 도라 시대(1936~1943), 프랑수아즈 시대(1943~1953), 자클린느 시대(1952~1973)는 각각 입체주의, 종합적 입체주의, 고전주의, 초현실주의풍과 인체 변형, ‘게르니카’와 2차대전, 2차 대전 전후 시기, 말기의 양식적 변화와 짝을 이룬다.

피카소가 자신만의 세계를 최초로 선보인 청색시대(1901~1904)는 페르낭드를 만나기 전, 절친한 친구였던 화가 카사헤마스의 죽음이 계기가 됐다. 그는 실연당해 자살했다. 당시 19세의 피카소는 그 영향으로 젊은 날의 고독과 우울을 푸른 톤으로 그리기 시작했고, 청색시대의 그림은 창녀, 거지, 장님, 부랑아, 광녀 등으로 채워졌다. 페르낭드를 만나면서 화면이 밝아지면서 장미시대(1904~1906)가 열리고 그는 서커스 광대와 여인 누드 등을 그리게 된다.

피카소는 피카소 자체로 봐야

피카소는 ‘○○주의’로 불리는 어떤 사조에도 속하기를 거부했다. 그는 시대나 사조를 떠나 스스로 가장 위대한 작가이기를 원했다. 그의 목표는 미술의 전체 역사와 대면하고 그것에 도전하는 것이었지, 특정 시대에 자리잡으려는 게 아니었다. 들라크루아, 벨라스케스, 쿠르베 등 대가들의 작품을 수십 점씩 재해석ㆍ변형한 것도 그러한 도전 의식의 산물이다. 따라서 피카소는 어느 시대 어느 양식과도 견줄 수 없으며 피카소 자체로 봐야 한다.

피카소는 평생 끊임없는 실험으로 자기 혁신을 거듭했다. 그런데도 ‘피카소=입체주의’로 통하는 것은 입체주의가 서양미술사의 가장 위대한 혁명이기 때문이다. “나는 내가 보는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생각하는 것을 그린다”는 그의 말은 원근법에 기초한 르네상스 이후 서양미술 500년의 전통을 일거에 무너뜨린 입체주의의 토대이자, 1970년대 등장한 개념미술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그의 입체주의는 초현실주의, 추상미술, 개념미술 등 현대미술의 모든 모험에 길을 열어주었다. 피카소 자신은 ‘나는 초현실주의자가 아니다’ 라고 했지만, 앙드레 부르통은 피카소를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라고 불렀다. 추상을 거부했던 피카소는 대상을 잘게 쪼개어 해체하는 분석적 입체주의 시기에도 구상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았지만, 추상미술은 그의 작업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창의력 교육(8세) 2006-03-21 17:28
카테고리 : 학부모님 http://blog.paran.com/yangnalge/8739948
“엄마는 아이의 처음선생님"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재미있는 미술교육에 대하여 (초등)


미술교육의 가장 큰 목적은 창조적인 아이,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줄 아

는 아이로 키우는 것이다. 나비하면 꼭 날개 2장을 펼치고 위에 더듬이가 예쁘

게 달려있는 모습만 상상한다면 그건 고정관념. 나비는 날개를 접고 있을 수도

있고, 또 자세히 관찰해보면 날개가 4장이다. 여러명이 함께 간 숲을 그리더라

도 내가 그린 그림은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다. 그 만큼 그림은 독창적인 것이

다. 또 그림은 있는 그대로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껏 상상력을 펼치는 도

구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자동차, 바닷속 놀이 동산, 식인 로켓등 자기만의 상

상의 세계를 드러내도록 해줘야 한다. 그래서 아이가 말도 안되는 그림을 그리

더라도 격려해 주어야 한다. 특히 유아기의 그림은 마치 단순했던 올챙이가 복

잡한 기관과 모양을 갖춘 개구리가 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하늘은 파랗게

칠해야 하고 얼굴은 살색이고 색칠은 빈틈없이 선 밖으로 나가지 않게해야 한다

는 식의 지도는 아이의 창의력을 죽이는 결과를 낳는다.

아동미술 전문가들이 부모에게 권하는 것을 정리해 보면,


첫째 다양한 경험을 할 기회를 많이 주라는 것.

둘째 표현의 자유를 충분히 주고.

세째 그림이나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심지 말라는 것. 그리고 칭찬과 격려로

써 미술활동을 더 북돋워 주라는 것이다.

물론 미술활동이 또 다른 스트레스가 되지 않도록 편안한 마음으로 활동할 분위

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자료출처: www.kihouse.net



색다른 미술 표현

첨부이미지

돌에다 포스터칼라로 그린 그림

첨부이미지

2. 알콜그림

물감에 물을 많이 묻혀서 재빨리 그린 후

면봉에 알콜을 묻혀서 찍으면 다양하게 퍼진다.

첨부이미지

3. 세제그림..세제와 물감을 풀어 그 거품으로 그린 그림

첨부이미지

4. 필름 그림

.. ohp필름에 포스터칼라고 그림을 그린후

다 마르면 뒤면에 검은 포스터칼라를 칠하고

송곳 등으로 앞면의 색을 긁으면서 그림을 그린다

5. 크레파스로 번지게 그리기

첨부이미지

6. 먹물을 떨어뜨린 뒤 입으로 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