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도 ‘그림책 거장’ 존 버닝햄 추모 열기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

 

인쇄글자 작게글자 크게

SNS서 독자들 추모글 줄 이어
도서관엔 2주간 추억 공간 마련

국내도 ‘그림책 거장’ 존 버닝햄 추모 열기

“존 버닝햄. <알도>와 <내 친구 커트니>와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와 <지각대장 존>과 <깃털 없는 거위 보르카>와 <검피 아저씨의 뱃놀이>와, 제목을 적어 내려가는데 눈물이 왈칵 올라오게 하는 다정한 세계들과 모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어린이들’의 지지자. 그가 세상을 떠났군요. 안식을 빕니다.”

김지은 아동문학평론가는 영국의 그림책 작가 존 버닝햄의 타계 소식을 듣고 자신의 트위터에 이렇게 추모의 글을 남겼다. 20세기 최고 그림책 작가 중 한 명인 존 버닝햄은 지난 4일(현지시간)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82세.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존 버닝햄의 그림책을 사랑한 이들의 추모글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 송파어린이도서관은 이날 도서관 내 자료실 한편에 존 버닝햄을 추억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송파어린이도서관 관계자는 “앞으로 약 2주간 공간을 유지할 예정”이라며 “그림책계에서 거장으로 꼽히는 분인 데다 작품활동을 끝까지 했다는 점에서 가진 의미가 크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서점 알라딘은 ‘다섯 살 아이들의 영원한 친구, 존 버닝햄’이란 추모 페이지를 개설했다. 추모 댓글난에는 “지각대장 존을 만나 어린날의 나를 만나고, 지금의 아이들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와 같은 존 버닝햄을 추억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1936년 영국 서리주 파넘에서 태어난 존 버닝햄은 부모와 주거용 트레일러에서 살며 학교를 9번이나 옮겼다. 삽화가가 된 그는 1963년 그림책 <깃털 없는 거위 보르카>로 데뷔해 그해 삽화가에게 주는 최고의 영예인 ‘케이트 그린어웨이 메달’을 받았다. 존 버닝햄은 1970년 그림책 <검피 아저씨의 뱃놀이>로 다시 한 번 이 메달을 수상했다. 존 버닝햄은 50여년간 60권 이상의 그림책을 발간했다. 2005년과 2006년 책 발간 기념회 참석차 한국을 찾기도 했다. 

 

지난해 아내이자 동료 삽화가인 헬렌 옥센버리와 함께 어린이 자선단체인 ‘북트러스트’의 공로상을 수상한 존 버닝햄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남겼다. “어린이들은 덜 똑똑하지 않다. 그들은 경험이 적을 뿐.”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1102112025&code=100100#csidx93cf9c56d619cffb1716217fc539655

[아직 살만한 세상] 청소중 발견한 돈봉투 주인 찾아준 환경미화원

입력 : 2019-01-06 17:42

 

사진은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국민일보DB(왼쪽), 게티이미지뱅크

울산의 한 환경미화원이 청소를 하던 중 발견한 현금 100만원을 경찰을 통해 주인에게 돌려준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울산 중구청 소속 환경미화원 김진섭(49)씨는 지난 4일 오전 11시35분쯤 중앙여고 뒤편 도로에서 청소하다 종이봉투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김씨는 봉투를 열어보고 화들짝 놀랐습니다. 봉투 안에는 5만원권 20장, 총 100만원이 들어있었습니다.

김씨는 봉투를 들고 곧바로 인근 파출소로 향했습니다. 그리고 경찰관에게 “주인을 꼭 찾아달라”고 당부한 뒤 돌아섰습니다. 경찰관은 “아직 분실신고가 들어온 게 없다”며 “주인이 찾아오면 꼭 전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10여 분이 지났습니다. 김씨는 여느 때처럼 동료들과 인근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습니다. 그때 김씨에게 한 남성이 다가왔습니다.

울산 중구청 소속 환경미화원 김진섭(49·사진)씨가 4일 중앙여고 인근에서 종이봉투 속에 든 현금 100만원을 발견, 경찰을 통해 주인을 찾아준 사실이 알려졌다. 울산 중구 제공

남성은 김씨에게 “돈을 찾아줘서 고맙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김씨가 찾아준 돈 봉투의 주인이었습니다. 남성은 김씨에게 사례하고 싶다며 봉투 하나를 내밀었습니다. 김씨는 이를 정중히 거절했습니다. 결국 남성은 김씨에게 “나중에 밥 한 끼 사겠다. 정말 고맙다”는 말을 남기고 식당을 떠났습니다.

김씨는 지난 1996년 2월부터 약 23년간 환경미화원으로 근무했습니다. 김씨는 평소에도 업무에 최선을 다하는 모범공무원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중구는 김씨에게 구청장 포상 수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김씨는 “돈을 본 순간 잃어버린 사람이 얼마나 애가 탈까 걱정부터 앞섰다”며 “빠른 시간 안에 주인을 찾아 정말 다행이다. 당연한 일을 했을 뿐 대단한 일을 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씨는 추운 겨울 이 소식을 접하는 이들의 마음까지 따뜻하게 데우고 있습니다. 그의 선행은 당연한 듯하지만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막상 나에게 닥쳤을 때는 욕심부터 앞서기 마련이죠. 김씨의 말처럼 언젠가 이런 선행이 ‘당연한 일’이 되는 세상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직 살만한 세상]은 점점 각박해지는 세상에 희망과 믿음을 주는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힘들고 지칠 때 아직 살만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아살세’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따뜻한 세상을 꿈꾸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강문정 인턴기자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968312&code=61122021&sid1=all

[사연뉴스] 세계 최악의 동물원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호랑이

입력 : 2019-01-01 05:00/수정 : 2019-01-01 05:00
출처 : 데일리메일 라지즈가 2년 전까지 살던 우리(왼쪽), 남아프리카의 좋은 환경에서 살고 있는 라지즈(오른쪽)

‘세계 최악의 동물원’이라고 칭해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칸 유니스 동물원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호랑이가 있습니다. 이 호랑이는 어쩌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동물이 됐을까요?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이 동물원은 2014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됐습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에는 동물원을 감시하거나 지원할 만한 기관이 없었고, 가자지구에는 동물 운동 단체도 없었습니다. 계속되는 폭탄 공격으로 동물원을 관리하던 사람들도 모두 떠났습니다. 이렇게 칸 유니스 동물원은 완전히 버려진 채 잊혀졌습니다. 폐허가 된 동물원에는 동물들만 남게 됐습니다.

출처 : 데일리메일 먹이를 먹지 못해 굶어죽은 동물들

두 달 동안 동물들은 먹이 하나 없이 쫄쫄 굶었어야 했습니다. 굶주림을 견디지 못한 대다수의 동물들은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렇게 호랑이 ‘라지즈’만이 살아남은 겁니다.

상황을 알게 된 국제동물단체는 항의를 했고 2년 후인 2016년 라지즈는 세계 최악의 동물원에서 남아프리카 ‘라이언스록(LionsRock)’이라는 새로운 집으로 이사했습니다. 18마리의 새로운 호랑이 친구들도 만났습니다. 라지즈의 새로운 거처는 옛 거주지의 1000배가 넘을 만큼 규모가 크다고 하는군요.

지금은 넓고 푸른 환경에서 건강을 회복했다는 ‘살아남은 유일한 호랑이’ 라지즈. 더이상 라지즈와 라지즈 친구들처럼 인간들의 폭력 때문에 고통 받는 동물들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사연뉴스]는 국민일보 기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접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살아 있는 이야기는 한 자리에 머물지 않습니다. 더 풍성하게 살이 붙고 전혀 다른 이야기로 반전하기도 합니다. 그런 사연의 흐름도 추적해 [사연뉴스 그후]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연뉴스]는 여러분의 사연을 기다립니다.

이신혜 인턴기자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956432&code=61131411&sid1=int

[아직 살만한 세상] 1100만원 들어있는 돈가방 주인 찾아준 택시기사

방콕포스트.

태국의 한 택시기사가 승객이 두고 내린 돈가방을 발견하고 주인을 찾아줬습니다.

방콕포스트는 최근 태국으로 여행을 다녀온 미국인 남성 제리 하트(47)씨의 사연을 5일(현지시간) 소개했습니다.

태국 관광을 마친 하트씨는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택시를 타고 방콕 수완나품 공항으로 향했습니다. 공항에 도착한 하트씨는 자신의 가방을 택시 조수석에 두고 내린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방콕포스트.

결국 하트씨는 집으로 가는 항공편을 취소하고 경찰에 도움을 요청해 잃어버린 가방을 찾기 위해 애썼습니다.

잃어버린 가방 안에는 무려 9800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100만원 정도가 들어 있었습니다.

다행히 하트씨를 손님으로 맞았던 택시기사 크람시리(57)씨 덕분에 돈은 무사히 주인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방콕포스트.

크람시리씨는 차 안을 청소하던 중 승객이 두고 내린 가방을 발견하고 바로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이후 공항에서 하트씨를 만나 가방을 직접 전해줬습니다.

하트씨는 “돈을 찾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돈을 찾게 돼 너무 행복하다”고 심정을 전했습니다. 이어 “태국을 5번 이상 방문했는데 예의 바르고 미소로 가득찬 태국인들을 보며 태국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910232&code=61131111&sid1=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