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미술교과교육연구회에 해당되는 글 2601건
- 2006.09.10 제6회 광주비엔날레 볼만한 작품들(한국2006/09/08)
- 2006.09.10 몸으로 숫자쓰기
- 2006.09.10 예쁜 떡
- 2006.09.06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한국''2006/09/04)
글
제6회 광주비엔날레] 볼만한 작품들 '버릴 것 없는' 잡동사니 모아 中현대사 한눈에 '보디 옵푸스케터스' 모니터로 불상에 깃든 사유 관찰 | |||||||||||||||||
이번 광주비엔날레에서는 중국 작가 송동(40)의 ‘버릴 것 없는’과 한국계 미국인 마이클 주의 ‘보디 옵푸스케터스’가 대상 공동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버릴 것 없는’은 작가의 어머니가 30여 년간 모아온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분류해서 늘어놓은 대형 설치작품으로, 그 자체가 개인사의 요약이자 중국 현대사의 축약본이다. ‘보디 옵푸스케터스’는 불상(반가사유상)과 모니터 설치작품으로, 모니터로 불상의 여러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반가사유상에 깃든 사유를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아시아 작가들은 자국의 기억을 여러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예컨대 라오스 출신인 봉 파오파니트의 ‘네온 라이스 필드’는 밭고랑 모양으로 길게 쌀을 쌓고 각 이랑의 골에 네온으로 선을 질러 세련된 추상 조형을 설치했다. 동서가 상호침투하는 지구촌의 오늘을 다루는 작품 가운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것들이 많다. 인공위성으로 세계에서 가장 푸른 하늘을 찾아내 실시간으로 사각 스크린에 보여주는 ‘가장 푸른 하늘’(리즈 아우토제나 & 조슈아 포트웨이)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전시장 안팎에서 등에 커다란 생수통을 매고 돌아다니는 흰옷 차림의 사람들을 보면 따라가보라. 그들은 하늘이 뻥 뚫린 감옥 같은 공간에서 열심히 물을 마신 뒤 빈 병에 소변을 담아서 빈틈없이 늘어놓는다. 코카콜라와 펩시의 생수병 2만6,000개를 보름 동안 설치하는 작업이 끝나면, 병 뚜껑이 그리는 베트남 국기의 노란 별이 성조기의 흰 별로 바뀐다. 글로벌기업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세계화 압력에 대한 시각적 저항이라고 하겠다. 냄새를 전시한 작가도 있다. 시셀 톨라스는 광주 남자들의 땀 냄새를 채집해서 ‘공포 5’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왜 공포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벽을 만지면 땀 냄새가 진동한다. 이밖에 검은 실을 거미줄처럼 쳐서 어두운 숲을 만들고 그 안에 피아노를 가둔 일본 작가 시하루 시오타의 ‘침묵 속에서’, 관객이 이마에 센서를 붙이고 의자에 앉으면 그의 뇌파에 따라 바닥 영상에서 연꽃이 피고 물고기가 헤엄치게 만든 중국 작가 슈만 린의 ‘내공’은 조용한 성찰의 시간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 |||||||||||||||||
입력시간 : 2006/09/08 19:08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학사전 (0) | 2006.09.21 |
---|---|
[제6회 광주비엔날레] 아시아 미술의 힘을 세계 강타할 열풍으로(한국일보) (0) | 2006.09.10 |
몸으로 숫자쓰기 (0) | 2006.09.10 |
예쁜 떡 (0) | 2006.09.10 |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한국''2006/09/04) (0) | 2006.09.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광주비엔날레] 아시아 미술의 힘을 세계 강타할 열풍으로(한국일보) (0) | 2006.09.10 |
---|---|
제6회 광주비엔날레 볼만한 작품들(한국2006/09/08) (0) | 2006.09.10 |
예쁜 떡 (0) | 2006.09.10 |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한국''2006/09/04) (0) | 2006.09.06 |
APEC누리공원에서 만난 조형미의 세계 (0) | 2006.09.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광주비엔날레 볼만한 작품들(한국2006/09/08) (0) | 2006.09.10 |
---|---|
몸으로 숫자쓰기 (0) | 2006.09.10 |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한국''2006/09/04) (0) | 2006.09.06 |
APEC누리공원에서 만난 조형미의 세계 (0) | 2006.09.06 |
가보지 못한 뭉크미술관 (0) | 2006.09.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 | |||||
김환기, 박수근 등과 함께 최고가에 거래되던 이중섭 작품이 위작 시비 이후 아예 경매에 나오지 않는 등 거래가 끊어졌다. 이중섭과 박수근의 작품 2,700여 점을 갖고 있다는 김용수 한국고서연구회 명예회장이 소장품으로 열려던 이중섭 50주기 미발표 작품전도 무산됐다. 그가 갖고 있는 작품이 위작 시비에 휘말려 지난해 봄 검찰이 수사에 나서면서 몽땅 압수됐기 때문이다. 이 사건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중간 수사결과 발표에서 논란이 된 이중섭과 박수근의 그림 58점에 대해 ‘위작으로 의심된다’고만 했지 ‘위작’이라고 단정짓지는 않았다. 이런 와중에 5월 덕수궁 미술관에서 열린 ‘근대의 꿈 아이들의 초상’ 전에 모처럼 이중섭의 그림이 나왔지만 또다시 위작 논란이 불거지자 아무도 이중섭 50주기를 챙기려고 나서지 않게 됐다. 이중섭 작품의 위작 여부를 놓고 그동안 3건의 고소가 있었다. 한국미술품감정협회가 지난해 3월 서울옥션 경매에 나온 이중섭 그림 4점이 가짜라고 주장하면서 분쟁이 시작됐다. 경매 한 달 뒤인 4월, 문제의 작품을 경매에 내놓았던 이중섭의 아들 이태성씨가 감정협회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다시 한 달 뒤인 5월, 이번에는 박수근의 장남 박성남씨가 김용수 명예회장을 위작 유포 혐의로 고소했다. 이에 김용수 명예회장은 무고와 명예훼손이라며 박성남씨와 감정협회를 상대로 맞고소를 했다. 박성남씨의 고소 건만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고, 다른 두 건은 무혐의 처리됐다. 이중섭은 불우했다. 40년 짧은 생애 동안 가난에 시달리다 병들어 죽었다. 숨진 후에도 무연고 환자로 분류돼 사흘이나 시체실에 방치돼 있었고, 뒤늦게 사망 소식을 접한 친지들이 그의 시신을 수습했다. 그렇게 떠난 지 50년, ‘국민 화가’라는 칭송이 무색하게 그의 기일은 어지러운 분쟁 속에 쓸쓸하게 지나갈 전망이다. | |||||
입력시간 : 2006/09/04 18:15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으로 숫자쓰기 (0) | 2006.09.10 |
---|---|
예쁜 떡 (0) | 2006.09.10 |
APEC누리공원에서 만난 조형미의 세계 (0) | 2006.09.06 |
가보지 못한 뭉크미술관 (0) | 2006.09.06 |
미술품 경매시장 가보니 "6억7,000! 받습니까?"(한국일보) (0) | 2006.09.02 |